[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뇌기능개선제인 '콜린알포세레이트' 유효성 재평가가 확정되면서 제약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급여 축소에 이어 약제에 대한 효능효과까지 입증해야 하는 무거운 숙제를 안게 됐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3일 국내 134개 제약사, 255개 콜린알포세레이트 품목에 대한 임상재평가 실시를 공고했다. 해당 제약사들은 오는 12월 23일까지 임상시험 계획서를 포함한 재평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는 약사단체에서 끊임없이 약효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데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을 해치고 있다고 문제제기를 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라 이슈화됐다.
식약처 자문기구인 중앙약사심의위원회(중앙약심)도 이 약물이 일반 치매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며 임상 재평가 실시를 권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식약처는 임상 재평가를 정식 공고하고 해당 약물의 임상적 효능을 다시 점검하기로 했다. 임상 재평가는 보통 5년 이상 걸리는 장기 과제여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현행 효능이나 급여 수준이 유지될 전망이다.
의약당국의 이 같은 결정에 해당 품목을 보유한 제약사들은 고민에 빠졌다. 특히 콜린알포세레이트 처방 매출 비중이 큰 제약사들은 공동 대응을 할지, 아니면 개별 대응을 할지를 두고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가장 높은 처방 실적을 기록한 △대웅바이오의 '글리아타민'은 916억원, 이어 △종근당의 '종근당글리아티린'은 723억원 △유한양행 '알포아티린' 159억원 △한국프라임제약 '그리아' 157억원 순이다.
이어 △대원제약 '알포콜린' 147억원 △셀트리온제약 '글리세이트' 95억원 △제일약품 '글리틴' 94억원 △서흥 '알포그린' 70억원 △알리코제약 '콜리아틴' 66억원 △한국휴텍스제약 '실버세린' 65억원'으로 집계된다.
A제약사 관계자는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회사들의 경영진이 이미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안다"며 "임상재평가 실시와 관련한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제약사 관계자는 "일단 다른 제약사들과 협의를 해보고 비용이 어느 정도 나오는지 따져본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해야 할 듯하다"며 "5년간 임상을 했다고 해서 원하는 결과가 나온다는 보장이 없으니 이래저래 우려가 많다"고 말했다.
경영진 차원에서 논의 중인 이슈는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