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편차 큰 난임시술 ‘질(質) 확보' 방안 모색
최종수정 2018.06.23 06:56 기사입력 2018.06.23 06:5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난임시술 건수(복지부 통계)는 2012년 6만4505건에서 2016년 8만7155건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정부지원도 늘어나고 있는데 시술 건수는 물론 의료기관별 질(質) 편차가 커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지방소재 A병원은 2012년부터 5년간 43건의 체외수정과 인공수정 등 난임치료 시술을 진행했지만 성공 사례가 단 1건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소재 B병원은 이 기간 3715건의 시술을 진행했고 1545건(41.6%)을 성공시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모자보건법 제11조의 3(난임시술의료기관 지정 등)에 근거를 두고 2017년 난임시술 의료기관의 인력‧시설‧장비 및 시술현황과 관련된 기초평가를 진행했고 현재 시범평가를 추진 중이다. 또 내년 시행을 목표로 난임시술 적정성평가를 계획 중에 있다.


앞서 ‘난임시술 의료기관 평가체계 방안 마련 연구’도 돌입한 상황이다. 심평원은 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의료기관 간 변별력을 확보하는 지표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난임 대상자 및 시술 의료기관은 증가하지만 난임시술기관 평가관리 기전 부재로 안전한 시술 환경 조성을 위한 밑바탕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형태로 지표가 나오게 될 전망이다. 


우선 심평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난임시술 의료기관 적정관리를 위한 평가 주기 및 평가 지표별, 기관별 결과 산출 방법 및 시술 기관별 비교 측정 평가방식 등의 구체적인 기준을 정립할 방침이다.
 

또 시설‧장비 및 전문인력의 질, 난임시술 실적과 질 관리 현황 등을 반영해 의료기관의 질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평가지표도 개발 중이다.


특히 배우자 동반 진료 필수, 배아 생성을 위한 생식세포 관리 등 난임시술 특성을 반영한 지표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다.


아울러 난임시술 정보의 효율적 수집 체계를 마련하는 방식도 고민할 계획이다. 저출산 문제 해결 및 난임 극복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난임시술 현황 및 그에 따른 임신‧출산 등 신뢰성 있는 자료 수집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심평원은 “난임시술 의료기관의 질 향상 및 안전한 시술 환경 조성을 위해 지정평가체계를 구축하고 난임시술 의료기관 지정 유지 및 취소 세부기준 마련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다. 변별력 강화를 위한 평가기준 및 방법, 권역간 불균형 개선을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빈 기자
관련기사
댓글 1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 잘못된 상흔 06.23 09:27
    문제는 실제 성공률도 매우 떨어지는데, 홈페이지 찾아보면 과대광고 하는 그런 한심한 도덕성을 지닌 의사들도 많다는게 더큰 문제라고 본다. 특히 맘카페등에 과대광고, 마치 남말하듯하면서 열심히 홍보하는 잘못된 상흔이 성행하는게 현실이다. 정부에서 제대로 규제해야 옳다.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