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승원 기자]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마취 적정성평가를 앞두고 학회와 병원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올해 10월부터 12월까지 마취료를 청구한 진료분에 대한 적정성평가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심평원은 이번 평가를 통해 전반적인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2차 평가에서 질 관리 및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이렇듯 처음으로 마취 분야에서 적정성평가가 시행되자 마취과학계와 병원들이 긴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간 적정성평가가 시행되는 과정에서 줄 세우기식 서열 발표와 그에 따른 후폭풍이 있었는데, 마취 적정성평가에서도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동안 적정성평가 결과에서 1등급을 받지 못한 병원은 불만을 제기해 왔다. 2등급이라고 해서 의료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것이었다.
대한마취통증의학회 관계자는 데일리메디와의 통화에서 “적정성평가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처음에는 개별 평가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첫 평가에서는 개별 병원들의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처음부터 줄세우기식 발표를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처음 시행되는 마취 적정성평가이니 만큼 1차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로 병원이 질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지 무작정 등급 발표부터 있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마취 적정성평가가 종합병원급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 관계자는 “평가가 시작이 되면 어떤 기관이든 신경이 쓰이고 행정적인 부담도 될 것”이라며 “상급종합병원은 몰라도 종합병원의 경우 분명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병원들도 평가 자체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그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는 모습이다.
한 병원계 관계자는 “마취 적정성평가가 결국 환자안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제는 적정성평가가 아니라 그 활용 방안”이라며 “줄세우기식 발표를 할 것이 아니라 의료기관이 의료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평가지표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홍보를 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고 병원들에 불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간다면 행정적인 부담을 안고 있는 병원들에 더 어려움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