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유치를 향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2014년 3월 오산시가 약 517억원의 토지를 사들여 6년 동안 추진했던 서울대병원 분원 설립이 무산된 이후에도 많은 지자체들이 서울대병원 유치를 외치고 있다.
지자체 입장에서 서울대병원 유치는 지역주민들에게 확실한 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경기도 시흥시가 서울대병원 유치에 유력 후보지로 급부상했다. 서울대병원은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시흥배곧 서울대학교병원 설립을 위한 협약서 체결 내용을 보고했다.
기획재정부는 오는 10월 말까지 시흥배곧서울대병원 설립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접수를 받고, 12월 중으로 예타 대상을 선정하게 된다. 예정대로라면 2020년 예비타당성 조사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평가가 이뤄진다.
서울대병원은 이미 내분비내과 조영민 교수를 시흥배곧 서울대병원 설립추진단장으로 임명하며 본격적인 준비에 나선 상태다.
예비타당성 승인을 얻은 후 병원 규모와 설립·운영, 개원 시기 등 세부적인 사항이 확정되면 추가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경기 과천·충남 서산·경북 상주 등 가세
과천시의회는 지난 4월 11일 과천시가 제출한 서울대병원 분원 유치를 위한 연구 용역에 대한 추경예산 7000만원을 제237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이에 과천시는 조달청에 학술연구 용역을 발주해 예상부지의 규모 적절성, 교통 여건과 주변시설 편의성 등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다.
또 조달청 용역 결과를 토대로 토지 무상지원과 건축비 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 등을 논의한다.
반면, 일부 과천시 주민들과 시의원들은 서울대병원 분원 유치에 반대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이 원하는 부지규모와 건축비를 감당하려면 4000억원 가량의 재원이 필요한데, 신도시 개발에 이를 투자하는 게 낫다는 이유에서다.
충청남도 서산시에서는 서울대병원과의 단순 업무 협약을 논의하는 국회토론회를 개최하고 분원 유치를 위한 것이라고 포장하기도 했다.
성일종 의원은 작년 11월 5일 ‘지역거점의료기관으로서 서산의료원의 기능 강화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다.
해당 토론회에서는 충남도가 운영하고 있는 서산의료원을 서울대병원이 위탁·운영하는 방안을 토대로 응급의료시스템 도입 및 산부인과 등 취약과목 지원에 대한 모델이 제시됐다.
비슷한 사례로는 1987년 서울시로부터 시립병원을 위탁받아 서울대병원이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보라매병원이 있다.
성 의원은 “충남지역 닥터헬기 이송 54.3%가 서산·태안 환자”라며 “서산·태안은 대표적인 의료취약지로 지역별 의료양극화를 해소해야 하는 중요한 곳으로 꼽히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