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진수 기자] 정부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보다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예방관리가 핵심이다.
보건복지부는 26일 권덕철 차관 주재로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2018~2022)'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개인 스스로 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2019년 ‘건강 인센티브 제도’ 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2022년에는 전(全) 국민 대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 건강관리 정도 등을 평가해 우수자에게 체육시설 이용권, 진료바우처(상품권)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또한 위험요인이 있는 근로자의 건강행동 변화를 지원하는 ‘근로자건강센터’를 확충하고 보건소 '비만운동클리닉'을 분석해 2022년까지 표준화된 사업모델을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 산하 ‘영양·비만전문위원회’ 위원 구성 및 기능을 확대해 범부처 차원에서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통합·조정하고 각 부처 비만예방관리대책의 이행실태를 점검 및 관리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차관은 “비만은 발병 이전에 관리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기에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했고 이를 차질 없이 추진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006년 4조8000억원에서 2015년 9조2000억원으로 최근 10년 간 약 2배 높아졌다.
남자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26%로 OECD 평균 25.6%보다 높고, 당뇨병·고콜레스테롤혈증·고혈압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