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우리나라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들의 진료횟수는 가장 많았다.
다만 의료계는 지속적으로 의사 과잉공급을 주장하고 있는 만큼 이번 자료를 놓고 향후 또 한 차례의 공방이 예상된다.
12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 2018'에 따르면 우리나라 의사 수는 인구 1000명 당 2.3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인 3.3명과 비교해 현저히 적었다.
더욱이 이 수치는 한의사를 포함한 결과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였다.
의대 졸업자 수 역시 2016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7.9명으로 OECD 평균인 12.1명에 크게 못미쳤다.
덴마크(22.1명)나 아일랜드(24.4명)와 비교하면 1/3 수준이다. 의대 졸업자 수가 한국보다 적은 나라는 일본(6.7명) 뿐이었다.
그러나 국민 1명이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7.0회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회원국 평균이 7.4회인 점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일본이 12.8회로 두 번째로 많았고, 스웨덴(2.8회)이 가장 적었다.
국민 1인당 의약품 구매액은 구매력평가환율(PPP) 기준 589.1달러로, OECD 평균 448.9달러보다 140.2달러나 많았다.
병원 규모 역시 인구 1000명 당 12.0병상으로 OECD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이 13.1병상으로 가장 많았다. OECD 평균은 4.7병상이다.
최근 5년 간 회원국 대부분 병상 수가 줄어드는 것과 달리 한국은 1.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규모가 큰 만큼 의료장비 보유 수준도 세계 최고였다.
국내 의료기관이 보유한 CT·MRI는 인구 100명 당 각각 27.8대, 37.8대였다. OECD 평균은 16.8대, 26.8대다.
국민 1인당 의료비는 PPP 기준 2897달러로, OECD 평균(4069달러)보다 낮았다. GDP 대비 의료비 지출규모는 7.6%로 평균(8.9%)보다 낮았지만,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