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기획 3]중국산 발사르탄 고혈압약 파동을 계기로 ‘의약품 위탁제조’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상당수 제약사들이 별도의 생산라인 확충이 필요한 품목이거나 이미 같은 성분의 제네릭을 생산 중인 위탁업체에 생동성 시험부터 판매에 이르는 전(全) 과정을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제약사들은 R&D나 파이프라인 확충에 시간과 자본을 투자해 신약개발과 같은 핵심 업무에 주력할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의약품 생산대행업체(CMO) 등 위탁업체들이 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이나 인도에서 들여온 값싼 원료로 의약품을 만드는 일이 부지기수다. 발사르탄 사건과 같은 문제가 생겼을 때 의약품 생산 및 관리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따지기 어렵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실제 정부는 제약사에, 제약사는 하청을 준 위탁업체에, 위탁업체는 원료수입업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기막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제약사 10곳 중 1~2곳만 직접 생동성시험”
발사르탄 파동의 주요 원인으로 ‘위탁제조’가 지목되고 있다. 위탁제조 범위는 공동·위탁 생동성시험, 제조 등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포함된다.
이중 ‘공동·위탁 생동성시험’은 발사르탄 사건의 직접적 원인은 아니지만, 생동성시험 규제가 느슨해지면서 제네릭이 난립하게 됐다는 데 많은 전문가들이 공감한다.
식약처에 따르면 생동성 인정 품목은 2010년 437개에서 2016년 1112개로 급증했다. 위탁생동성 시험으로 생동 인정을 받은 품목이 2012년에는 337개, 직접 실시 품목 251개로 집계됐지만, 2016년에는 위탁생동 허가 품목이 984개, 직접 실시 품목이 128개로 차이가 극명했다.
1112개 제품 중 984개가 위탁 생동을 거친 것으로, 제네릭 10개 중 1~2개만 제약사가 직접 생동성시험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약사들이 공동·위탁 생동을 선택하는 이유는 비용 대비 효과가 커 경제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 발사르탄제제 품목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비정상적으로 많다.
식약처가 발표한 문제가 된 발사르탄 성분 품목은 전체 76개사 174개이지만 동일 품목이 캐나다 21개, 미국 10개, 영국은 5개 있다.
고혈압약뿐만 아니라 발기부전치료제인 ‘비아그라’는 46개사 116개가 복제약으로 허가를 받아 판매되고 있다. 경쟁약인 ‘시알리스’도 69개사 185개 품목이 출시됐다.
이형기 서울대병원 교수는 “공동·위탁 생동성시험을 거친 제약사가 판매 허가를 받기 전까지는 양질의 고가 원료를 사용하다가 허가 이후에는 품질 보장이 어려운 저가 원료로 갈아타는 경우도 있다”며 “판매 허가 후에는 원료 공급처를 바꾸더라도 간단한 비교 용출 자료만 제출하면 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공동·위탁 생동, 사건 터지면 책임 회피 가능”
공동·위탁 생동성 시험은 제네릭 난립 외에도 의약품에 하자가 생겼을 때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실제 판매 중지 조치를 받은 의약품을 보유한 제약사 가운데 매출 상위 10위권 내 포함되는 대형제약사 1곳도 위탁생산 업체에서 맡긴 품목으로 인해 입방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