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그동안 신장이식 후 나타날 수 있는 거부반응을 확인하려면 신장에서 채취한 병리 조직을 슬라이드로 만들어 병리과 전문의가 분석해야만 했다.
사람이 직접 모든 부분을 다 분석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분만 판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로 신장이식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거부반응 여부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해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향후 활용도가 주목된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사진 左] · 병리과 고현정 교수팀[사진 右]은 병리 조직 슬라이드를 판독해 신장이식 수술 후 항체매개면역거부반응 여부를 진단해내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적용한 결과, 병리과 전문의가 직접 판독한 정답과 비교해 약 90%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AI를 활용할 경우 판독 시간이 평균적으로 약 13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으로 신장 조직을 분석한 후 병리과 전문의가 추가적으로 판독하면, 혹시 모를 진단 오류 발생 가능성과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특히 신장이식 수술 전 기증자와 수혜자 사이의 면역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직적합성항원 검사 등 여러 검사를 미리 실시하지만, 신장이식 후 나타날 수 있는 거부반응 중 하나인 항체매개면역거부반응은 완전히 예측할 수 없었다.
항체매개면역거부반응이 의심되면 환자의 신장 조직을 채취한 후 특정 면역염색 기법을 적용해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peritubular capillary)의 개수를 세야 했다.
김남국 교수는 “염색된 모세혈관이 일정 기준보다 많으면 신장이식 거부반응이 실제로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정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