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제약사 가운데 대웅제약과 종근당이 가장 많은 임상시험 승인 건수를 기록했다. 매출 1700억원대 중견제약사 '경동제약'이 뒤를 이어 눈길을 끌었다.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 승인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승인된 임상시험 계획 건수는 총 44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했다.
이중 국내 제약사만 살펴보면 대웅제약과 종근당이 각각 11건으로 가장 많은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대웅제약의 경우 승인된 임상 11건 중 6건이 임상 1상 이었고 2상 임상 1건, 3상 임상 1건, 생물학적동등성시험 3건으로 집계됐다.
3상에 진입할 'DWJ211'는 턱밑지방치료제로 개발되고 있으며, 당뇨치료제 시장에서 가장 핫한 SGLT-2 억제제 계열 신약인 ‘DWP16001’은 2상 최종 승인을 받았다.
류마티스관절염 치료 물질 'DWJ1421'과 올메사르탄과 암로디핀, 로수바스타틴 3제 복합제 'DWJ1351',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DWP14012정' 등은 1상을 진행하게 된다.
종근당은 임상 1상이 9건으로 가장 많았고, 3상 1건 그리고 생동 1건 등 총 11건을 승인 받았다. 3상을 승인 받은 CKD-825은 고혈압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고혈압·이상지질혈 복합제 'CKD-333', 녹내장 치료 물질 'CKD-351', 당뇨 치료 물질 'CKD-396'과 'CKD-398', 탈모 치료 물질 'CKD-843' 등은 임상 1상에 들어가게 된다.
중소제약사인 경동제약이 국내 제약사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총 10건의 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 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임상 1상 승인 1건을 제외한 나머지 9건은 모두 제네릭 허가를 위한 생동성 승인이다.
경동제약은 3제 복합제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암로디핀, 발사르탄, 로수바스타틴을 결합한 3제 복합제 ‘KD5001’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한다.
한국콜마와 한미약품 임상 승인 건수는 8건으로 동일했다. 한국콜마의 경우 8건 중 2건이 임상 1상, 나머지 6건은 생동성 승인이었고, 한미약품은 1상 4건, 2상 1건, 3상 2건, 생동성 1건으로 집계됐다.
대화제약은 R&D 중심의 강소제약사로서 면모를 드러냈다. 올해 상반기 임상 승인을 받은 7건 가운데 생동 1건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임상 1상에 관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