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공동생물학적동등성시험 폐지 철회를 권고한 규제개혁위원회(이하 규개위) 결정을 존중한다. 그러나 글로벌 수준의 제네릭의약품 품질관리가 필요하다는 정신까지 포기한 것은 아니다."
채규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정책과장[사진]은 19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지난해부터 야심차게 준비했던 공동생동 단계적 폐지안이 무산된 데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번 달 규개위는 식약처가 제네릭 의약품 난립을 막기 위해 마련한 '의약품 품목허가·신고·심사 규정 개정안'과 관련, 철회 권고했다. 당연히 통과할 것으로 여겼던 식약처 내부에선 충격이 컸다.
채 과장은 "지난 3월 30일 부임해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꼽혔다"며 "그러나 이 안(案)이 철회 권고를 받은 것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서 우리가 왜 공동생동 폐지를 추진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많은 제네릭의약품이 시장에 난립하는 문제를 어떻게든 해소해야 한다는 점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면서 "그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가 공동생동의 단계적 폐지안이었는데, 규개위가 철회를 권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규개위 판단은 받아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네릭의약품이 국제 경쟁력을 갖고 국민보건에 기여해야 한다는 대전제, 즉 문제의식 자체를 포기한 것은 아니다. 큰 틀에서 방향성이 맞다면 그 과정에서 하나 하나 옳고 그름을 따지기 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안을 마련하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