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현재 개발 중인 인공지능 기반 정밀의료 서비스를 앞서 만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청사진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유해영, 이하 NIPA)은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되는 ‘2018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에 의료 인공지능 특별관을 운영한다.
이 특별관에서는 심뇌혈관질환, 치매, 전립선암 등 3개 분야의 인공지능 정밀의료 서비스가 공개될 예정이다.
이는 과기정통부와 NIPA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총 357억원을 들여 개발하고 있는 AI기반 정밀의료 서비스 ‘닥터 앤서(Dr. Answer)’의 일부다.
‘닥터앤서’는 총 8개 질환을 대상으로 개발 중이며, 다양한 의료데이터를 활용 분석해 개인의 특성에 맞는 질병 예측, 진단, 치료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라인웍스, 뷰노 등 8개 병원과 기업이 참여해 개발 중이다.
과기정통부와 NIPA는 8일 오후 2시 코엑스 300호에서 ‘AI기반 정밀의료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인공지능 기반 미래 의료서비스의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이우진 과장은 ‘디지털헬스케어 메가트렌드’라는 제목의 기조강연을 통해 현재 과기정통부가 계획하고 있는 정밀의료 관련 정책과 사업 등을 소개한다.
서울아산병원 김영학 교수는 ‘AI와 정밀의료의 만남, 닥터앤서’라는 강연을 통해 컨소시엄이 개발 중인 8개 질환 전체에 대해 개발 방향, 절차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의료용 인공지능의 표준화의 필요성, 4차산업혁명과 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패널토의가 예정돼 있다.
NIPA 유해영 원장은 “의료 인공지능 특별전은 한국의료산업의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한국형 정밀의료 서비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