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라니티딘 사태 이후 규제당국이 화학구조가 비슷한 니자티딘에 대한 수거 및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파모티딘과 시메티딘 계열로 조사가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남수 식약처 의약품관리과장[사진]은 29일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발암 추정 물질이 검출된 라니티딘 사태 후속 조치 진행 상황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김남수 과장은 "라니티딘과 동일하게 니자티딘 원료를 수거해 검사하고 있으며 각 업체별로 니자티딘 계열 약물에 대한 자체 조사를 요청한 상태"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와 유럽의약품청(EMA)도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으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라니티딘 사태를 보면, 해당 원료의 편차가 크다보니 미국에서는 전체적인 조치가 아닌 회수 품목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일본 역시 자진 회수를 진행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정보만으로는 어떤 상황인지 정확한 판단을 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현재 일본에선 라니티딘에 이어 동일 계열인 '니자티딘'도 회수 조치에 들어갔다. 오하라약품공업이 2개 로트에서 관리 수준을 초과한 NDMA 검출 사실을 알리고 자진회수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김 과장은 "업체에 니자티딘에 대한 자체 조사를 진행해 자료를 제출하라고 지시한 국가는 일본이 처음"이라며 "식약처가 해외 규제기관의 발표를 보고 행동에 나선다는 지적도 받고 있지만, 다른 나라 기관도 업체들로부터 보고 받은 뒤 후속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