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협회-치과위생사협회 '강 對 강'
최종수정 2018.10.01 16:26 기사입력 2018.10.01 16:2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간호


[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간호조무사와 치과위생사 간 갈등이 심화될 조짐이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이하 간무협) 내 치과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1일 "치과에서 근무하는 1만8000여 명의 간호조무사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9월30일 간무협 회의실에서 '전국 및 시도 임상간호조무사협의회 치과간호조무사협의회 연석회의'를 열고 최근 논란이 된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 간 업무범위 혼란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했다고 전했다. 

지난 9월 9일 대한치과위생사협회(이하 치위협)가 업무범위 확대를 요구했던 '의료기사법 개정 촉구 보건복지부 규탄 결의대회' 대응 차원에서 진행된 이번 회의에서 비대위는 치과위생사의 진료보조업무 수행이 불가하다는 간무협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비대위는 "치위생정책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치과위생사 치과진료보조 포함하는 의기법 개정 즉각 시행하라'는 성명서는 직종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부당한 요구사항이라고 규정하고 치위협은 직역이기주의적 집단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 곽지연 위원장은 “치과위생사들이 간호인력의 고유 업무인 진료보조 업무를 무조건적으로 달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간호조무사와 치과위생사가 상생 협력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업무범위 규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곽 위원장은 “정부가 추진 예정인 ‘치과보조인력 업무범위 관련 개선방안 논의를 위한 협의회’를 통해 더 이상 이 문제가 ‘제로섬 게임’이 되지 않고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모두 공존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이 도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를 통해 비대위는 의기법 시행령 시행으로 간호조무사 업무가 축소된 것과 관련해서 치과위생사의 불법 사례 수집을 포함, 법적 대응을 준비하기로 했고, 치과 간호조무사의 생존권 사수 차원에서 법적 업무 확대 및 보장을 위한 전국 치과간호조무사 결의대회 개최를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박다영 기자
댓글 5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 치과위생사 10.02 21:29
    이해할수없는간무협

    우리너네밥그릇뺏는기아니고

    간조가우리치과위생사밥그릇뺏을려는기지..

    으이그 지긋지긋한간무협

    생각좀하세요
  • 의료인 10.04 01:39
    참 모순적인 위치에 있는 간호조무사...

    언제쯤 이나라가 제대로 바로 잡을련지

    여러 직종의 업무범위를 이리저리 들쑤시고 있으니 참...
  • 치과위생사2 10.08 18:26
    치과위생사는 대학교에서 국민의 구강건강을 위하여 3,4년을 전문으로 공부하였고 나 역시 4년제대학을 나와서 치과위생사면허를 갖고 4년을 일하고있는데 같이 일하는 조무사가 말하길 본인은 치과에대해 조무사학원다닐때 3쪽도 안배우고 취직했다고 하더라.

    내 가족이, 내 지인이, 내 자식이 다니는 치과에 3쪽배우고 나온사람이 본인치료할때 의사를 보조하는게 나을지 3.4년 배운 전문의료지식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협업하는게 나을지 잘 생각해보면 국민들도 알수있을것임.

    조무사들은 억지주장좀 그만했으면..
  • 하하하 10.26 15:49
    1년 학원에서 딴 자격증으로 모든 의료기사들과 의료인의 행위들을 날치기 해가는 밥그릇 도둑들이 어디  밥그릇 타령을 하는가... 하하하 오늘도 웃고 가지요.
  • 문제심각 02.10 17:40
    간호조무사협회 상근기획이사(최종현)는 의사도 간호조무사도 아니다.

    그는 의사협회 사무총장 및 개원의협의회 전문위원으로 일하던 사람이

     간호조무사단체로 상근직으로 옮겨 자유한국당, 병협, 의협, 간호조무사들의

     연결고리가 된 것 같다.

     간협은 지금 의사들의 이익추구와 회원들의 직종 이기심을 부추기고 잘 버무려

     의료인의 면허체계와 의료서비스의 질을 떨어트리고 있다.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