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기획 3] 실제로 병원들의 내과 전문의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입원전담의 외에도 중환자실 전담의, 응급실 전담의, 신속대응팀 등 수요가 다양하다.
주로 대형병원에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조건을 너무 따지지 않는 다면 내과 전문의가 필요한 병원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대한내과학회가 수련 병원 관리를 위한 칼을 꺼내 들었다. 전공의 수련기간을 3년으로 개편한 뒤 부실 수련이 우려 되는 병원에 대해 정원 회수 등의 강도 높은 질 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내과학회는 하위 20% 수련병원의 경우 개선 여지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때문에 이들 병원의 정원을 회수해 우수한 수련을 하는 병원에 배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내과학회 엄중식 수련이사[사진]는 우수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이 여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엄 수련이사는 “수련평가에서 탈락한 병원을 정리하는 것처럼, 잘하는 병원에는 정책적 및 재정적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Q. 수련기간 개편 2년 경과했다. 평가를 한다면
햇수로 치면 올해로 3년째다. 3년제 개편의 효과인지는 모르겠지만 내과 전공의 지원율이 어느 정도 회복이 됐다. 병원에 따라 전공의를 충원 못하는 경우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병원들은 정원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 같다. 전공의 지원율 증가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본다. 원격의료로 우려했던 불안요소가 정리된 점도 주효했던 것 같다. 수련기간 개편 과정에서 병원들이 많은 노력을 해주셨다. 때문에 안정적인 전공의 수급이 가능한 상황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수련의 질이 떨어지는 병원들도 있다. 이제는 수련의 강도와 질을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숙제다.
Q. 수련기간 단축 뒤 우려했던 문제는 어떤지
부실 수련에 대한 우려는 당연히 있다. 병원 중에서는 수련이 부실한데 전공의 생활은 편한 곳이 있다. 이런 병원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전체 수련병원이 123곳 정도 되는데 하위 10~20% 정도는 수련의 질을 개선시키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어떤 형태로든 관리나 정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Q. 부실 수련병원 전공의 정원 회수도 있던데
전공의 정원 회수는 가장 극단적인 방법이다. 전공의 파견 프로그램이나 병원의 수련프로그램 자체의 개선이 가능한 병원들이 있다. 수련병원의 장이 결심을 하면 바꿀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그러한 문제에 무관심하다면 정원 회수를 할 수밖에 없다. 하위 20% 병원들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학회의 방침에도 적극 따라오는 편이다. 전체적인 수준도 많이 올라갔다. 그러나 수련의 질 개선과 관련해 학회가 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다. 수련병원 지원 방안에 대해 수련환경평가위원회와 보건복지부가 로드맵을 내놓아야 한다.
단지 패널티를 준다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탈락한 병원을 정리하는 방법이 있다면 노력하는 병원에 대한 지원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선순환 구조가 이뤄질 수 있다. 현재 포지티브 피드백은 내과 전공의 정원을 더 주는 방법 밖에 없다. 이에 더해 정책적인 지원과 재정적인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 정원은 일정 부분을 넘어가면 그 때부터는 또 관리의 문제가 생긴다. 그 이상의 보상은 없는 셈이다. 실제로 전공의 수련 관련해 지도전문의에 대한 보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