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승원·한해진기자] 의료 공급체계 개편안 중 하나로 '300병상 미만 병원 퇴출론'이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복지부가 같은 날 서로 다른 발언을 하고 나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용익 건보공단 이사장은 300병상 미만 병원의 역할 부재를 지적한 바 있다.
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의료생활권을 도출하고 각 지역 간 의료이용을 분석한 결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이 많을수록 사망률과 재입원율이 낮게 발생했다.
때문에 지역별로 병상 공급을 규제하고 신설병원의 경우 보유 병상 기준을 300병상으로 정하자는 것이다.
지난 23일 서울 노보텔 앰버서더호텔에서 개최된 ‘건강보험 보장성강화 국제심포지엄’에서도 발제자로 나선 서울의대 김윤 교수 역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해서는 ▲커뮤니티 케어 ▲전달체계 개편 ▲적정수가 ▲기술평가 ▲비급여 관리 등이 요구되며, 전달체계 개편에는 급성기 병상의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300병상 이상 병원이 있는 지역은 1병상이 증가할 때 사망비율이 9%씩 감소한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300병상은 기능 분화와 병원 설립 투자의 기준으로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테면 300병상 이하의 병원은 진료기능에 연계한 수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기능을 전환하고, 300병상 이상 병원은 응급·심뇌혈관·어린이병원 등으로 기능을 분화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김 교수는 “입원취약지에 300병상급 후보병원이 있는 경우 확충을 지원하고, 그렇지 못하다면 공공병원을 신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 "300병상이 기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급 과잉은 맞다"
한편 보건복지부 측은 '300병상 기준설'을 일축했다.
지난 23일 열린 한국병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백영하 서기관은 "복지부는 300병상을 기준으로 병원을 구분한다던지 등 그런 말을 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병상 공급이 현실적으로 과잉이라는 분석은 인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