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경영난으로 폐원 위기에 놓인 국내 첫 여성전문병원인 제일병원이 태풍전야처럼 고요했다. 진단서를 떼거나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왕왕 보이기는 했으나 대체로 한산한 모습이었다.
8일 서울 중구 묵정동에 위치한 제일병원에는 의료진, 행정직원 등 200명 정도가 근무를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 휴원을 결정한 뒤로 평일 주간 진료와 응급실 운영만 부분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입원병동은 환자 발길이 뚝 끊겼고, 외래병동은 예전에 비해 조용했다. 단, 수납창구는 진단서 및 각종 서류를 떼러 온 환자들로 조금 붐볐다.
의료진도 일부는 떠났지만 잔류를 결정한 이들도 있다. 부인암 명의로 알려진 김태진 산부인과 교수는 제일병원을 떠나 올해 1월부터 건국대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한정열 교수도 이직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기헌·임경택 산부인과 교수 등은 당분간 병원에 머물기로 결정했다는 전언이다.
제일병원 관계자는 "정규직 직원 450명 중 200명 정도가 남아서 병원이 회생되길 기다리며 맡은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임금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제일병원은 연간 1000~1200억원 정도 수입을 내왔다"며 "체불임금 및 인건비 지급과 병원 운영에 필수적인 치료재료 등에 관한 비용을 지불해 병원 진료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면 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병원을 어떻게 소생시키느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