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올 4월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앞두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자체 TF를 만들어 참여계획을 세우는 등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간 커뮤니티케어는 복지부 주도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장기요양보험 영역을 중심으로 세부사항을 지원하는 체계로 알려졌다. 때문에 심평원은 번외의 기관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최근 심평원 내부자료에 따르면,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중 의료급여 관련 업무 참여를 통해 기관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목표가 담겼다.
심평원 의료급여실은 자체TF를 구성해 관내‧외 의료급여 장기입원자에 대한 심사연계, 현장방문, 퇴원지원 등 업무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커뮤니티케어를 수행할 지자체와의 심사‧사례관리 연계, 합동방문 중재사업 등 지원체계를 형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특히 복지부와 지자체 소관 사업인 ‘의료급여 사례관리 강화’와 ‘재가급여 시범사업’ 등 영역에 심평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의료급여실은 커뮤니티케어 TF를 만들었다.
TF는 선도사업에 선정된 지자체가 속한 심평원 지원과 ‘의료급여 커뮤니티케어 협력협의체(가칭)’ 운영할 계획이다.
▲선도사업 중 심평원 지원가능 분야탐색 관련 협의 ▲장기입원 환자 대상 선정 및 퇴원 관리방안 마련 ▲사례관리 및 합동중재 시행 등을 주요과제로 설정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커뮤니티케어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수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고민 중이다. 지원체계 형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건보공단은 심평원과 달리 공식적으로 커뮤니티케어에 참여하는 역할이 크다. 각 지사에 지원반을 운영해 지자체의 선도사업 수행을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건강·의료 측면에서 통합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를 발굴하고 방문진료, 동네의원 만성질환관리,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재가 의료급여 등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