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문제가 된 발사르탄 회수 과정에서 발생한 환자와 의료진의 혼란이 재현되지 않도록 다른 국가들처럼 제네릭 약명을 '일반명+회사명'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대한약사회 이모세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장[사진]은 최근 데일리메디와 만난 자리에서 발사르탄 사태로 인해 드러난 문제 중 하나로 환자나 의료진에 대한 편익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중심의 제네릭 제품명을 꼽았다.
이모세 본부장은 "발사르탄 사태의 경우 최초 원인과 별도로 의약품 회수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생겨 더 악화됐다"며 "환자들이 병·의원 및 약국을 찾아와 약을 보여주면서 발암물질이 들었는지 아닌지 확인해달라는데, 생소한 이름이 많아 사전을 찾아보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들었다"고 말했다.
식약처가 판매 및 생산 중지 처분을 내린 의약품 가운데 △코넥스 △씨알비 △사디반 △바오르 △엑스데핀 △코넥스 등은 제품명만 놓고 보면 어떤 질환 혹은 계열의 약인지 연상작용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회수 대상인지 아닌지 금방 판단할 수 없으니, 의료진과 환자 모두 불편함을 느꼈다. 발사르탄 사태는 고혈압약에 국한된 일이지만 당뇨약의 경우 1개 제제에 100개가 넘는 품목이 있어 더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사후 처리 문제와 관련해 제네릭 제품명이 너무 다양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본의 경우 제네릭에 대한 제품명 관련 가이드라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은 거의 병행 표기, 한국은 발암물질 함유 제네릭 이름 중구난방 600만명 고혈압환자 큰 혼란"
실제 이번 발사르탄 사태는 한국은 물론 미국, 캐나다, 영국 등지에서도 일어났는데 이들 국가의 경우 제네릭 의약품 명이 모두 '발사르탄+회사명' 혹은 '회사명+발사르탄' 형태여서 빠른 대처가 가능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중구난방으로 제품명이 지어져 600만명의 고혈압 환자들이 모두 자기 약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의료기관을 찾는 해프닝이 벌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