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백성주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에볼라바이러스병 대책반을 구성하고 국내 유입에 대비해 출입국자 검역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에볼라바이러스병은 바이러스성출혈열의 일종으로 치명률은 최대 90%에 달한다. 감염된 동물 섭취 및 체액 접촉, 환자 및 사망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콩고 북동부 북키부주에서는 2월 7일부터 2월 15일까지 확진환자 4명이 발생, 이 중 2명이 사망했다. 기니 남동부 은제레코레주에서는 확진환자 3명 모두 사망한데 이어 의심환자 4명이 발생했다.
세계보건기구는 이 지역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발생 정보를 공유하면서 현지 치료센터에 대한 평가, 진단제, 백신 공급 등 해당 정부의 대응을 지원 중이다.
양국 정부는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세계보건기구와 협력해 역학조사, 의료자원 확보, 오염시설 소독 등 조치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에 구성된 질병청 에볼라바이러스병 대책반에선 이 지역 에볼라바이러스병 발생현황 정보를 상시 수집해 위험평가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대응 전략을 수립 및 변경해 갈 예정이다.
대응수준 강화를 위해 콩고 및 기니를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해외 감염자 발생 예방을 위하여 외교부와 협조하여 출국자 예방수칙 안내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 발생국가 모니터링 및 입국자 집중 검역 실시, 의료기관 정보(DUR, ITS) 공유, 중앙- 지자체 및 관계 기관 공조체계 강화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 외에 에볼라바이러스병의 국내 유입에 대응할 수 있는 조치들을 강화해 시행하게 된다. 질병청은 현재 에볼라바이러스병 치료제 100명분을 비축 중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콩고, 기니를 방문하는 국민은 박쥐, 원숭이 등 야생동물 접촉을 피하고, 불필요한 현지 의료기관 방문을 자제해야 한다”면서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등 검역 조치에 대해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