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바이오 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이 될 '제2 반도체'로 꼽히면서 이커머스와 유통 등 이종(異種) 기업들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LG, SK 등 대기업들이 바이오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면서 인터파크, 현대백화점, CJ 등도 관련 사업 분야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인터파크는 지난 2017년 4월 인터파크바이오융합연구소(이하 IBCC)를 설립해 오가노이드 기반 정밀의료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후 지난해 7월 IBCC를 분사해 별도의 법인인 ‘인터파크바이오컨버전스'를 설립했다.
신설 법인에선 오노가이드(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재조합한 장기유사체) 및 배양 기술, 표적항암제, 항암제 신물질 개발 등을 진행한다.
이 회사는 제약사가 자체 과제를 선정, 보유 기술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방식이 아닌 트렌드 분석 및 의료현장의 니즈를 조사해 과제를 고르고 그에 맞는 인력 및 기술을 모아 운영하는 컨버전스 방식으로 진행한다.
인터파크바이오컨버전스 관계자는 "사실 2017년부터 연구소에서 오가노이드 관련 연구를 소규모로 진행해오다가 지난해 스핀오프를 하며 본격적으로 바이오 사업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매출 40조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한 현대백화점그룹도 바이오 시장에 첫발을 내딛는다. 기존 사업 부문과 시너지를 내면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한 '신수종 사업' 중 하나에 바이오를 포함시킨 것이다.
앞서 현대백화점그룹은 작년 8월 SKC로부터 자회사 SK바이오랜드를 인수했다. 이어 같은 해 10월에는 SK바이오랜드 사명을 '현대바이오랜드'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