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건강보험료 체납으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누수가 심각한 가운데 납부능력이 충분한 체납자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정숙 의원(민주평화당)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건강보험료 체납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재 총 130만7000세대가 2조5157억원을 체납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별관리 세대 선정 등 정부의 체납자 관리에도 불구하고 2013년(2조3718억원)에 비해 체납액은 1439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체납 관리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건보공단은 2006년부터 고소득, 고액재산가 등 보험료 납부 능력이 있으면서 장기간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체납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납부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특별관리 세대를 지정해 관리해 왔다.
납부능력 충분해 특별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도 징수율는 70% 초반대에 그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최근 5년간 특별관리대상자의 체납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1142억200만원에서 2017년 1541억2100만원으로 매년 증가한 반면, 징수율은 70% 초반대에 머물며 개선되지 않았다.
2017년에는 70.1%로 최근 5년 중 징수율이 가장 낮았고 올해 역시 8월 10일 기준 66.38%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