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의료질평가지원금이 오히려 종별 간 의료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소하 의원(정의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년4개월 간 의료기관이 청구한 의료질평가지원금은 총9330억원으로 그 중 74.1%에 해당하는 6915억원이 43개 상급종합병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질평가지원금은 2015년 선택진료비 폐지에 따라 도입됐으나 상급종합병원의 손실 보존에 집중된다는 지적에 따라 복지부는 의료 질적 수준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종별·지역별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
윤소하 의원은 "의료의 질 개선이라는 목적보다 상급종합병원의 수익 지원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의료질평가지원금 총9330억원의 의료기관 종별 청구액 현황을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6915억원을 청구, 전체 의료질평가지원금의 74.1%를 차지했다.
지난 2년4개월 간 43개 상급종합병원은 의료기관 당 평균 160억원 이상을 지원받았으나 223개~237개에 이르는 종합병원은 의료기관 당 평균 10억원의 지원에 그쳤다.
상급종합병원이 받는 지원금의 비중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총1128억원 중 상급종합병원이 청구한 금액은 760억원으로 67.4%이었는데 2016년은 5247억원 중 3940억원으로 75%, 2017년 상반기에는 총2955억원 중 2215억원으로 74.9%를 기록했다.
연도별 청구액 현황에서는 2015년 1128억원, 2016년 5247억원에 이어 2017년 청구 총액은 6000억원이 넘고(심사미완료), 2018년 평가에 따른 차기년도 지원금 규모는 7000억원 규모로 예측되고 있다.
현 추세대로 지원규모가 확대되는 만큼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지원 역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윤 의원의 전망이다.
의료질평가지원금은 선택진료비 축소∙폐지에 따라 종별 손실 규모를 고려해 결정한다.
이외에도 의료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 의료기관을 지원한다는 것이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