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성모>안동병원>전남대병원>울산대병원 順
최종수정 2018.09.01 06:18 기사입력 2018.09.01 06:18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중증외상환자 생명을 지켜내는 권역외상센터들의 의료인력난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국고지원금도 계속 쌓여가고 있다.
 
정부가 지원해 주고 싶어도 병원들이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가 작성한 ‘2017년 응급의료기금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6개 권역외상센터 운영지원 사업 예산 중 68800만원이 사용되지 못했다.
 
권역외상센터 운영지원금 예산은 3093700만원으로, 이 중 2405700만원이 해당 기관들에게 지급됐다. 예산 집행률은 77.8%였다.
 
기관별 불용액 현황을 살펴보면 의정부성모병원이 103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안동병원 89500만원, 전남대병원 83100만원, 울산대병원 78000만원, 단국대병원 73700만원 순이었다.
 
경북대병원(48900만원), 충북대병원(39200만원), 원주기독병원(34200만원), 국립중앙의료원(33700만원), 아주대병원(32600만원) 등도 수 억원의 불용액을 기록했다.
 
국고 운영지원금을 모두 소진한 기관은 목포한국병원이 유일했다.
 
각 센터들의 불용액이 늘어나면서 책정된 예산의 집행률 역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한국병원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기관이 100%를 채우지 못했다.
 
집행률이 가장 낮은 곳은 의정부성모병원으로 181400만원의 예산 중 78400만원을 사용, 43.2%의 실집행률을 기록했다.
 
안동병원은 18100만원 중 9600만원을 사용해 50.3%를 나타냈고, 전남대병원도 1744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됐지만 91300만원만 사용하며 집행률이 52.4%에 머물렀다.
 
단국대병원(67.5%), 충북대병원(70.6%), 울산대병원(70.8%), 경북대병원(72%), 제주한라병원(74.6%), 국립중앙의료원(76.9%)로 평균 이하의 집행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불용액 발생과 집행률 저조 이유는 인력 부족에 기인한다. 정부가 전국 권역외상센터에 지원할 운영비를 책정해 놨지만 정작 병원들이 인력을 채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되면 80억원의 시설·장비비와 매년 7~27억원의 운영비를 지원 받는다. 운영비 상당 부분은 의료인력 인건비다.
 
물론 인건비를 무조건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권역외상센터는 24시간 365일 중증외상환자 진료가 가능하도록 3개 이상의 외상팀을 구성하고, 각 팀별로 전문과목 구성과 전담 전문의를 배치해야 한다.
 
전문인력 배치 현황에 따라 인건비 지원 규모가 달라진다. 많은 인력을 확보할수록 지원받는 인건비 액수도 늘어나는 구조다.
 
하지만 센터들은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진료과목별 쏠림현상에 수도권 인력 유출까지 심화되면서 해결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대한외상학회 추계에 따르면 권역외상센터 1개소 당 외상외과 세부전문의는 23명 정도가 필요하다.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국내 외상외과 전문의가 391명이 돼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배출된 외상외과 세부전문의는 228명으로, 필요한 인력기준의 절반을 조금 넘는 정도다. 23명의 외상전문의를 충족하는 센터도 수도권에 몇 군데 뿐이다.
 
한 권역외상센터 관계자는 외상전담 의사가 부족해 외상환자를 적극적으로 받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외상센터에서 일할 전문의를 키워야 한다고 피력했다.
 
정부 역시 권역외상센터의 인력난을 인정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외상 분야는 응급수술에 따른 위험이 크고 높은 업무 강도로 인해 의사들이 기피하고 있다중증외상진료체계 구축에 필요한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려대 구로병원과 세브란스병원에 외상 전문의 육성을 위한 수련센터를 운영 중이지만 지원자 기근은 이 센터들 역시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박대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