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지방의료원·적십자병원 등 4000억 투입
최종수정 2018.08.27 11:47 기사입력 2018.08.27 11:4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정부가 4000억원을 투입해 지역 공공의료시설과 돌봄센터 등 복지시설의 개선 및 확충을 도모한다.
 
이는 수도권-지방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인한 원정 진료의 증가, 복지시설의 만성적인 공급 부족과 안전관리 취약 등 문제에 대한 후속조처다.
 
이와 함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2000억원 들여 도시 숲 조성,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 지하역사 미세먼지 개선 등에도 박차를 가한다.
 
기획재정부 김동연 부총리는 27일 수출입은행에서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지역밀착형 생활 SOC 확충’계획을 내놨다.
 
우선 공공의료시설 확충 및 개선 등이 눈에 띈다.

정부는 수도권-지방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지방 환자의 원정 진료 증가와 이에 따른 국민 불편 및 추가부담이 발생함에 따라 지방의료원·적십자병원 등 지역 거점 공공병원 41개소의 기능을 보강하는 등 지방 의료 인프라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실제로 수도권 원정 진료자 수는 지난 2008년 225만명에서 2016년 42.2% 증가한 320만명에 달했다.
 
또 그동안 공급 부족·안전관리 취약 등 비판을 받아 온 복지시설 확충·개선도 진행한다.
이에 장애인(108→270개소), 노숙인(3→11개소), 한 부모 시설(42→77개소), 지역아동센터(1200개소) 등에서 안전기능을 보강한다.
 
여기에 온종일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돌봄 센터 200개소를 추가로 확충할 예정이다.
 
공공의료시설 및 복지시설 확충·개선 등에는 총 400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아울러 2000억원을 투입해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도심지역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건물밀집, 유동차량 등으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각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 정부는 도시바람길 숲 10개소, 미세먼지 차단숲 60ha 등을 신규 조성해 대응한다. 지난해 4월 서울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심은 도시숲지역 보다 미세먼지 3.9배, 초미세먼지 2.4배 등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수소충전소 30개소(도심 20개, 고속도로 10개소) 등을 신규로 설치하고, 전기차 급속충전기 1325기 등을 확충해 전기·수소차 보급 및 확산을 추진한다.
고재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