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간호대 학생 관장실습 파문이 SNS를 통해 확산된 지 한 달 가량이 지나서야 간호계가 공식입장을 내놨다.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한간호협회와 17개 시도간호사회, 10개 산하단체 등은 10일 "학생들의 신체를 직접 대상으로 실습이 이뤄진 것에 대해 간호계의 성찰과 제도 개선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장문에는 ▲학생 안전 및 인권 침해 간호실습 근절 ▲간호대학 교육평가에 학생인권 침해여부 기준 마련 ▲양질의 간호실습 위한 교원 및 시설기준 관련 법·제도 개정 촉구 등이 포함돼 있다.
간호계는 “간호대 교내실습은 병원실습 전에 습득해야 할 기본 간호술을 익히는 과정으로, 예비간호사로서의 기본자질을 갖추기 위해 활력징후 측정, 보호장구 착용 등 몸소 실습해야 할 항목도 있다"고 운을 뗐다.
다만 "관장, 도뇨관·위관 삽입 등은 일반적으로 인체모형을 이용해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며 “학생안전과 인권에 위험성이 높은 술기에 대해서는 학생을 통한 실습을 반드시 근절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현행 간호교육인증평가제도의 한계도 인정했다.
간호계는 “간호교육 질 관리를 위해 인증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실습교육 지표는 실습비, 교과목 편성, 교원 및 시설기준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학생안전과 인권 침해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시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