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오는 9월 중증소아 재택의료 시범사업이 첫 시행되는 가운데 국내 현실에 부합하는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는 작업도 동시에 시작된다.
관련 시범사업은 지난 4월24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결정돼 큰 틀에서의 가이드라인이 발표됐으며, 지금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다 세밀한 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시범사업을 두 달여 앞둔 시점, 심평원은 중증소아 재택의료 서비스 프로세스 표준 프로토콜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현 시범사업 기준 상 중증소아 재택의료 적용 대상은 만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중 가정용 인공호흡기, 가정산소요법, 가정정맥영양, 장루영양 등이 필요한 환자다. 서비스 유형은 ▲단기퇴원서비스 ▲재택의료서비스 ▲환자관리 및 연계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지만 처음으로 시도되는 영역이다 보니, 기본적으로 환자 특성별 교육 및 관리 체계를 표준화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의사, 간호사, 코디네이터, 교육상담자 등 의료인력 역할 분담 방안도 정립해야 하는 등 남겨진 숙제도 많다.
이에 심평원은 6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중증소아 재택의료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는 연구에 착수할 방침이다.
교육, 모니터링, 처치, 환자관리, 학교-지역사회 연계 등 분야별 필요 서비스 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의료 요구도에 따른 유형별·분야별 서비스 프로세스가 검토된다.
아직 국내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방향성도 열어뒀다.
이와 관련 심평원 측은 “소아재택의료 시범사업은 국내 최초로 이뤄져 기존 국내 문헌고찰로는 동향파악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호주의 사례를 분석해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호주는 가정의료 요구의 수준 및 제공 장소에 따라 중증 돌봄 서비스, 가정 및 학교 의료지원 프로그램, 퇴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시범사업 대상 및 모형이 유사한 것이다.
심평원은 연구기간 내 중증소아 재택의료를 시행하고 있는 호주 로얄 어린이병원(Royal Children's Hospital)을 견학,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시범사업에 반영한다는 세부과제도 세웠다.
심평원 관계자는 “중증 소아 재택의료 서비스 요구조사 및 표준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현장 수용성 제고는 물론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제공의 근거를 마련할 것이다. 이른바 ‘표준 지침’ 설정이 주요 과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