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건의' - 조영제 - 복지부 '난색’
최종수정 2018.07.09 12:12 기사입력 2018.07.09 12:1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X선 조영제 이상사례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이 올해 초 복지부에 건의사항을 전달했으나, 복지부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물론 환자에게 나타난 이상사례가 X선 조영제로 인한 결과라는 ‘인과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이은 이상사례 신고에도 복지부가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8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기관은 지난 1월 복지부에 ▲사전검사 등 안전사고 예방 방안 ▲조영제 투여에 대한 정부 가이드라인 ▲의료기관 간 환자 부작용 정보 확인 방안 등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실제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공개한 ‘2015~2017 의약품 등 안전성 정보보고 동향’에 따르면 지난 3년 간 X선 조영제로 인한 이상사례보고는 꾸준히 증가했다. 2015년 1만 5743건이었던 X선 조영제 이상사례 보고는 2016년 1만 8240건, 지난해에는 1만 8631건까지 늘어났다.
 
하지만 반년이 지난 시점에도 복지부는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고, 현재 논의는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소비자원이 2·3차 15개 의료기관에서 당일 조영제를 투여 받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 설문조사에서 68명은 조영제 사전 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답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개개 의료행위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며 “의료행위라는 것이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기관 간 환자 부작용 정보 확인 방안 등에 대해 “개인정보 상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진료정보교류가 있으나, 의료기관간 환자 정보를 넘기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회장은 “X선 조영제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른다면 큰 문제”라며 “사전검사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이고, 사전검사를 넘어 추가적인 안전장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복지부는 소비자원의 권고에 대해 회신을 하지 않은 상태다.
 
한편 소비자원은 의료기관에도 ▲복수의 조영제 구비 ▲소비자 부작용 정보를 고려한 제품 선택 등을 권고한 바 있다.
고재우 기자
댓글 1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 조영제 07.10 18:17
    조영제를 제대로 사용을 안하는 것도 문제이지요.

    원스탑 서비스인지 뭔지... 환자가 내원을 했을 때, 모든 검사를 하기 위해 하루에 서로 다른 조영제를 여러 번 투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요.

    원스탑 서비스를 왜 하냐구요? 환자들이 두번 내원 하는 것을 막아 편리하게 함이라고 변명을 합니다. 현실은.... 병원 수익을 높이기 위함이지요.

    원스탑 서비스를 안하던 병원들도 병원 수익 창출 모델로 시행을 고려합니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모든 병원이 다 하니... 안하는병원만 바보라는 것이죠...

    이런 제안은 조영제를 전혀 모르는 타과에서 합니다. 환자의 신장이 어떻게 되든말든... 병원 수익이 우선이지요...

    사고가 나면요? 제안한 사람은 나몰라라 합니다. 영상의학과가 독박이지요. 심지어 주입한 간호사나 방사선사는 더하고요... 결국 조영제를 바꾸자고 하지요? ㅋㅋㅋ 바꾸면 뭐합니까? 시스템은 똑같은데...

    그것뿐입니까? 환자가 오면 별별 다른 종류의 약물들을 마구 쏟아 넣지요. 조영제와 병행금지 약물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무조건 주입하지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조영제에 대해 전~혀 모르는 간호사도 대부분이고요. 이러니... 조영제 사고가 끊임 없이 일어나는 것이지요.

    왜 조영제 사고가 해가 갈수록 늘어나는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세요...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