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자 생사 좌우 '3시간 골든타임' 해소될까
최종수정 2018.06.23 06:37 기사입력 2018.06.23 06:3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심뇌혈관질환의 3시간 이내 전문치료가 가능해지고 수도권과 지방 간 의료 불균형이 해소될 지 주목된다. 사각지대 없는 안전망 구축을 위해 중앙-권역-지역으로 연결되는 의료전달체계가 구축될 지 관건이다.

지난 21일 국회에서 개최된 '심뇌혈관질환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심뇌혈관질환 치료에 있어 국가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심뇌혈관질환은 암 다음으로 가장 많은 사망원인을 차지하고 있으며 후유증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매우 큰 질환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 응급증상을 느낀 환자가 골든타임인 3시간 이내 적정 의료기관에 도착하는 비율이 약 3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뇌혈관질환은 평소에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발병을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하지만 응급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적절한 병원에 이송돼야 하고 발병 후에도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사업을 통해 전국에 11곳(24시간 365일 전문의 진료)의 센터가 있으나 지역별로는 여전히 빈 곳이 많다.


충남대학교병원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설립 추진위원회 안순기 교수는 "초급성기 뇌경색환자 치료에 있어 권역과 지역 간 진료 연계 및 후송체계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안 교수는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관리 현실을 보면 입원율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지만 사망률 역시 전국 평균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군형있는 법 개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이뤄져야 하는 배경인 셈이다.


안 교수는 "만성기질환 관리는 물론 심혈관, 뇌혈관, 재활, 예방 등에 집중돼 있는 권역심뇌혈관센터의 역할 수행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국 심뇌혈관질환 관리 평준화를 위해서는 이 같은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도 "우리나라 급성심근경색 사망률은 OECD 평균 대비 8%, 노르웨이 대비 2.2배에 이르고 있다며 조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시도 간 사망률 격차는 제주 10.5%, 대구 24.5%로 최대 2.3배다. 민간의료 중심, 의료자원 불균등 분포로 인해 의료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필수의료 분야의 국가 책임이 더 중요해지고 필수의료 안전망 구축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수의료 안전망은 골든타임 내 치료역량을 갖춘 병원에 도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뇌혈관질환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급성심근경색 등 골든타임 내 치료 위한 필수의료 양극화 조짐"

하지만 현실은 어떠한가. 골든타임 내 치료 가능한 병원에 도착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다.


김 교수는 "여기에는 119 평가 능력과 지침이 미흡한 점과 지리적으로 치료 가능 병원의 분포가 불균등하다는 점, 무엇보다 심외혈관 응급의료체계 부재라는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실례로 급성심근경색의 경우, 병원 방문 전 그 증상을 의심했던 경우는 약15%에 불과했다는 지적이다.


낮은 119 구급차 이용률도 통계로 드러났는데 외국의 구급차 이용률은 미국 40~53%, 일본 70%, 싱가포르 58.6%인 반면,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 32.8%에 그치고 있다.


김 교수는 "현재(2014년) 58%에 달할 정도의 전원율을 기록 중인 가운데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지난 10년간 전원율은 17%가 증가했다"며 "심뇌혈관 권역 단위의 응급의료체계 부재도 심각하다"고 짚었다.


기본적으로 증상 인지율을 개선시키고 시도 단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먼저다.


김 교수는 "적정한 자원을 배치시키고 심뇌혈관질환 치료 가능 병원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심뇌응급센터 인증 제도 등을 검토함으로써 치료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중앙 및 시도 격차를 해소함으로써 필수의료의 양극화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김 교수 주장이다.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설립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분당서울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이희영 교수는 "심뇌혈관질환 급성기 치료와 예방, 재활환자 연계를 위한 국가 단위의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운을 뗐다.


이 교수는 "심뇌혈관질환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이를 담당할 전문 조직이 필요하다"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활동을 통해 쌓인 역량을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표준화된 질향상을 이루기 위해 중앙조직이 필수적인데 암, 치매, 응급, 감염 등 중요성이 큰 질환 정책에는 전문적인 정책 지원 조직이 있는 반면 심뇌혈관 질환에는 그렇지 못한 것이 현 주소다.


이 교수는 "법률상 종합계획수립이 정해져 있는 심뇌혈관질환에 상시적인 전문 정책지원 조직이 없는 것은 큰 문제"라고 심각성을 환기시켰다.
 

이에 "병원 전(前) 단계에서 심뇌혈관 특성을 살린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는 외상 대응체계에서 확인됐듯이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차별화돼야 할 뿐만 아니라 병원 후(後) 단계까지 담당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숙경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