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 원천 연구개발(R&D) 결과가 ‘실험실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실험실 창업이란 대학·출연(연) 등이 논문 또는 특허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하는 것으로, ‘기술집약형 창업’을 일컫는 말이다. 실험실 창업은 고용창출(평균 9.5명) 및 생존률(5년 80%이상 생존) 등이 일반창업보다 세 배 이상 높다.
과학기술정통부(과기정통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전략’을 발표했다.
일자리전략은 오는 2022년까지 바이오 실험실 창업기업 500개 창출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바이오 창업의 낮은 성공률·긴 IPO 기간을 극복하기 위한 지원에 나선다.
지난 2016년 기준 바이오분야 논문·특허성과는 2만 457건인데 비해 기술이전 성과는 1710건에 불과하다. 또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바이오 벤처 IPO 기간은 평균 15.6년으로, 벤처 평균인 11.9년과 비교했을 때 4년가량 더 필요했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을 중심으로 인력·장비·시설·공간 등을 제공하고, 사업화 전략 마련 등을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지원해 창업·일자리 창출 등에 어려움을 겪는 연구자를 도울 방침이다.
또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기술사업화에 참여하도록 인센티블 제공하고, 규제·자금 걱정없이 창업할 수 있도록 바이오 생태계 조성도 추진될 예정이다.
한편, 현재 국내 바이오 중소·벤처 평균 근로자는 29.5명으로 전체 벤처 평균인 23명을 웃도는 고용효과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창업도 연 400개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어, 일자리 창출의 핵심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고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