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코로나 팬데믹으로 가장 요동 친 분야가 제약·바이오산업이다. 지금까지 벌인 일들의 완성도를 높여 인프라로 자리잡도록 남은 2년 최선을 다하겠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사진]은 27일 신년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같은 포부와 향후 추진 과제 등을 발표했다.
원희목 회장은 "국내 업체들은 글로벌 빅파마에 비해 매출, 연구개발(R&D), 임상 비용 등에 있어 여전히 규모가 적다"며 "빠른 시간 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인력, 자본력, 시장성을 가진 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의약품은 다른 제품과 달리 안보적, 공공적 특성을 가지며, 코로나 팬데믹을 통해 그 중요성이 여실히 드러났다"며 "정부 투자나 지원이 실효성을 발휘하려면 보건산업 육성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일관성 있는 정책 운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손실보장제·MR자격인증제·CSO 양성화 적극 추진"
올해 제약바이오협회는 제약주권 실현과 글로벌 성공시대라는 시대적 과제를 이행하기 위해 △보건안보 강화 △블록버스터 창출 △글로벌 진출 가속화 △산업환경 혁신 등 4대과제 실천에 나설 예정이다.
보건안보 강화를 위해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고, 코로나19 사태로 관심을 받은 국산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 등 안정공급시스템 정립에도 나설 방침이다.
원 회장은 "과거 신종플루가 발생했을 때 국내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감염병 확산세가 누그러지자 투자 비용 및 재고 등으로 손실이 나고 말았다"며 "이에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나서기 전(前) 업체들이 이런 부분들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회는 제약바이오업체들 의견을 전달해서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개발 중인 의약품이 빛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손실보장제도 등 지원 방안에 대해 정부와 대화를 하고,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도에서 제네릭을 수입해왔던 미국은 의약품 부족 사태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