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라니티딘 퇴출 이후 항궤양제 시장에서 국내 제약사 품목들이 선전하고 있다. PPI 계열은 물론 기존 H2 수용체 길항제(H2RA) 계열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27일 의약품 시장조사업체 유비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한미약품, 대원제약, 보령제약, 동아에스티, 휴텍스제약 등 국내 제약사의 품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처방 규모가 확대됐다.
이는 지난 2019년 9월 라니티딘 성분 항궤양제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되면서 대형 품목들이 대거 판매 중지 조치를 받아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PPI 계열 품목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한 것은 아스트라제네카 '넥시움'(성분명 에소메프라졸)이다. 이 품목은 현재 대웅제약이 국내 유통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넥시움은 2020년 446억원 처방되며, 전년 대비 7.1% 성장했다. 1위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제품은 한미약품의 '에소메졸'이다. 넥시움의 개량신약인 에소메졸은 전년 대비 23.5% 증가한 406억원 처방 실적을 기록했다.
일양약품 놀텍은 2019년 대비 7.91% 오른 352억원 처방됐고, 대원제약 '에스원엠프'는 전년 대비 14.16% 늘어나면서 처음 원외처방액 200억원 고지를 성큼 넘어섰다.
일동제약 라비에트 역시 10.9% 오른 160억원의 처방 실적을 보였고, JW중외제약의 '라베칸'은 전년 대비 3.5% 성장한 97억원으로 확인됐다.
반면 일본계 제약사인 다케다제약의 항궤양제 품목들은 줄줄이 하락세다. 란스톤 엘에프디티는 3.1% 하락한 287억원, 덱실란트 디알은 15.3% 감소한 151억원, 판토록은 11.4% 줄어든 140억원으로 집계됐다.
H2RA 계열은 라푸티딘과 파모티딘 성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