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임수민기자] 서울시가 다음 달부터 시내 콜센터와 복합물류센터 등을 중심으로 자가검사키트를 도입해 코로나19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2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에서 "5월 2일까지 ‘특별방역관리 주간’으로 정해 시민 이용이 몰리는 시설과 방역사각지대를 중심으로 현장점검을 강화한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시는 5월 중 업체를 지정해 시범 사업을 시작하는 안에 대해 정부와 협의 중이다.
서울시는 애초 자가검사키트를 학교와 종교시설, 골목상권에 우선적으로 도입하려 했지만 검사의 정확도와 실효성 등을 고려해 콜센터, 물류센터 등으로 도입 대상을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국장은 "대표적인 3밀(밀접·밀폐·밀집) 환경인 콜센터와 서울복합물류센터 등 고위험시설에 도입을 협의 중"이라며 "현재 콜센터 관련 단체와 논의 중이며 서울복합물류센터의 경우 5월 중 18개 업체, 6000여 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추진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가검사키트 도입 비용은 자영업자·소상공인 상생 방역의 취지에 따라 일단 서울시가 부담할 예정으로 의료업계에 따르면 자가검사키트는 개당 7000∼1만원 선이다.
한편, 보건당국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기 어려운 섬이나 도서지역 등에 대해서도 제한적으로 자가검사키트 도입을 논의 중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섬 지역이나 도서 지역 등 PCR(유전자증폭) 검사의 접근성이 낮은 섬 지역이나 도서 지역, 접근성이 낮은 데서 선별 검사용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자가검사키트가 유증상자를 대상으로만 임상시험이 이뤄졌고, 유증상자용으로 허가된 상황"이라며 "무증상자 검사는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품질 개선을 위해 정부가 지원할 수 있게끔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자가진단키트의 낮은 민감도 등을 우려하는 지적에 대해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는 가짜양성·가짜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와 방역수칙 완화를 연계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몇 가지 원칙을 갖고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임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