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최근 혼인연령이 높아지면서 고령 임신이 늘어나는 가운데, 난임·고위험 임신이 증가함에 따라 보건복지부(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NMC) 등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복지부·NMC 등은 NMC 내에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를 개설하고, 이를 통해 난임 및 임산부 우울증을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방침이다.
NMC는 20일 의료원 내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를 개소하고, 고위험군에 속한 난임 및 임산부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개정된 모자보건법 제10조의 5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임산부에게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산전·산후 우울증 검사와 관련한 지원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개소는 이의 후속조치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출생통계에 따르면 여자 인구 1000만명 당 주요연령층 출산율 추이는 ‘30-40세’ ‘25-29세’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35-39세’ 구간에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난임·고연령 여성들이 시도하는 체외수정(시험관 아기) 시술 시 고연령일수록 출산율은 떨어지고, 유산율은 급격히 증가했다.
이와 함께 체외수정의 비용은 차치하고라도, 시술과정에서 정신적·신체적 고통, 일상생활, 가족 갈등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많았다.
그럼에도 우울증이 생길 수 있는 임신기간 및 산후 기간 치료를 받는 환자는 전체의 약 1%에 불과했다.
이에 복지부·NMC는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를 개소하고, 이들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에 나선다.
새롭게 개설된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는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정신건강의학화·산부인과·산후조리원·소아청소년과·임산부 관련 방문 사업 등과 연계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고위험군에 속하는 난임 환자 및 임산부, 산모 등을 대상으로는 의료적 개입 지원을 병행한다.
또 상담체계를 온라인·전화·방문 예약, 초기상담, 심리검사/평가, 결과상담, 필요시 정서안정 프로그램 제공, 상담종료, 진료과 연결, 치료 및 f/u 등 8단계로 세분하고, 중증도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진료과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NMC는 ▲임신 준비기부터 산후·육아기 등 전반에 걸쳐 여성들의 정서적 안정 ▲난임 및 임산부 우울증 고위험군 조기 발견 및 조기 개입 등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복지부 권덕철 차관을 비롯해 NMC 정기현 원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권용철 차기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고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