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케어 예산 집행률 83%...보장성 강화 가속도
최종수정 2020.10.20 09:48 기사입력 2020.10.20 09:48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박정연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근 3년간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위한 예산 집행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2017년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위한 예산은 당초 전망 4834억원 대비 38.1%인 1849억원을 지출했다.

2018년은 전망 3조7000억원 대비 64.7%인 2조4000억원을, 2019년에는 당초 전망 5조원 대비 83.1%인 4조2000억원을 사용했다.

문재인 정부는 국민의 의료비 부담이 큰 3대 비급여(상급병실, 선택진료, 간병비)를 중심 건강보험 하나로 실질적인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3개 부문 중심으로 펼쳐오고 있다.

첫 번째는 의학적 비급여의 전면적 급여화를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두 번째는 여성∙아동∙노인 등 취약계층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 본인부담상한제 개선 및 재난적 의료비를 지원한다는 게 중심축이다.
이 중 비급여의 급여화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과제는 이미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흉부(유방), 심장, 근골격계 초음파, ▴척추·근골격계 MRI, ▴척추질환·근골격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등 의학적 비급여의 급여화 같은 경우에는 의료계와 협의를 거처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성주 의원은 "건강보험 보장률이 아직 OECD 평균 보장률 80%에 미치지 못하지만 적어도 70% 수준까지는 가도록 보장성 강화 정책은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보장성 강화를 위한 지출이 늘어나는 만큼 재정지출 효율화에도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강인센티브제 도입 및 지역통합돌봄 체계 구축, 만성질환 관리 강화, 의료전달체계 개편 등을 통해 미래 지출 수요를 절감해야한다"며 "불법 사무장병원 근절 및 부당청구 적발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연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