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제약·의료기기 실무 특화 인재 적극 양성
최종수정 2018.09.07 05:40 기사입력 2018.09.07 05:4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료기기/IT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연세대학교가 제약 및 의료기기산업 분야에서 현장 실무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연세대는 보건복지부의 제약·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의료기기분야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된 바 있다.
 
제약·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은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데 제약과 의료기기 분야에서 다학제간 융합 지식 및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3년간 총 15억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게 되는데 이번에 새로 선정된 곳은 연세대가 유일하다. 연세대는 이를 위해 ▲의료기기 혁신제품화 전문가 과정 ▲의료기기 규제 전문가 과정 ▲의료기기 기술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과정과 같은 실무 교과 및 의무적 인턴십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6일 ‘의료기기 기술라이센싱 및 전략적 제휴’ 강의를 시작한 온유 특허법률사무소 유민규 공동대표[사진]는 “특성화대학원 취지는 실제로 실무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쌓는 것”이라며 “수업을 통해 연구실 또는 기업체 연구원으로서 특허 문제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유 대표에 따르면 의료시장에서 실제로 팔려나가는 특허 기술은 등록 대비 10% 내외다. 한번 특허출원을 하면 유지비용이 매년 증가, 이를 감당할 수 없는 대학이나 연구소는 대부분의 특허를 폐기한다.
 
여기에 더해 국내 의료기기업체 가운데 제품화가 가능한 특허 기술을 보유한 업체도 많지 않다보니 관련 인력의 부족 및 전문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유 대표는 “기존 제품에 준하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해야 하는 인허가 및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특허 작업 사이의 조율이 어려운 점”이라며 “특허 및 기술이전, 지적재산권에 대한 사전 준비와 이를 통한 수익 창출 등 실무에 필요한 내용을 알아가는 수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의료기기 기술의 국내 권리화 방안 ▲의료기기 품질관리 (GMP) 관리 전략 ▲의료기기 보험정책과 신기술평가 ▲의료기기 유통 무역론 등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이 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내용의 커리큘럼이 진행된다.
 
특성화대학원 내 의료기기산업학과 구성욱 주임교수는 “의료기기산업의 잠재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어 국내 기업의 전문인력 부족과 인력별 수준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화두”라며 “의료기기 산업 전반에서 활약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해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