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관심 높아진 국내 의료기기업체들
최종수정 2018.07.24 05:39 기사입력 2018.07.24 05:39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료기기/IT

[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예전의 중국이 아니다.”


단 시간 내 압축 성장을 이뤄낸 중국 의료기기 시장에 눈을 돌리는 국내 의료기기 업체의 '증가세'가 확연해지고 있다. 국산 의료기기 내수 확대 및 수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하지만 섣불리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가 철수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내수 기반을 구축하면서 동시에 수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도로 중국 현지화 진출지원센터를 설립하는 업체들도 있지만 녹록치 않아 보인다.

국내 의료기기 A업체 관계자는 "중국 현지화 측면에서 기업들이 잇따라 진출하면서 초기에는 사업이 잘 진행되는 듯 보였다"며 "하지만 난데없이 세금 문제 등에 가로막혀 애로사항을 겪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결국 경영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며 "우리는 그런 전철을 밟지 않아야겠다고 판단, 세금 등 관련 정보를 최대한 제공받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암초에 부딪혀 성공가도를 달리는 업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또 다른 B업체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중국에 진출했던 업체들이 문을 닫고 다시 한국행을 택하는데 왜 중국에 진출을 해야 하는지, 이미 시기가 늦은 것은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한계점을 짚었다.
 

대기업에서는 해외진출팀 등은 물론 법률팀을 주축으로 체계적인 사업 진행이 가능했던 반면 중소기업은 그렇지 못한 부분이 있어 아쉬움이 크다는 전언이다.


그는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비교적 싼 인건비 등만을 보고 들어가다 보니 예상치 못한 악재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하지만 내수 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더 이상 중국 현지화 진출 지원의 속도를 늦출 수 없다는 게 전반적인 목소리다.


이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가교 역할을 할 단체가 절실해 보인다"며 "전 세계에 국산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한국 전시관 운영을 비롯해 사전에 기업과 바이어 매칭을 주도하고 해외 의료기기 단체들과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인허가 등 유용한 정보 등이 제공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인허가와 관련된 장벽 해소가 가장 큰 숙제다. 비용도 만만치 않을 뿐 아니라 인력 투입 역시 계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생산 원가를 비롯해 기술 인력은 등급별로 어떻게 나뉘는지, 또한 물류현황 파악까지 세심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도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소규모 기업이라면 중국 내 어느 지역이 적합한지, 원자재를 중국에서 조달하려면 또 어느 지역이 유리한 지 분류하는 작업도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한국 기업 및 업체들이 중국 내 어느 지역에 진출하는 것이 좋을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숙경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