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국정감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에 따라 문재인 케어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추가 재원 마련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건보공단 국정감사에서 건보체계 개편과 개정 현황 등에 대해 질의했고 건보공단은 이 같이 밝혔다.
건보공단은 지난 7월 건강보험 가입자간 보험료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기존 제도를 개인 소득 수준에 맞게 개편했다.
고소득층 부담을 높인 것이 핵심으로, 재산보험료는 과세표준액에서 500만~1200만원을 공제한 뒤 부과하며, 생계형 승합·화물차 등은 보험료 부과 대상에서 빠졌다.
지역 가입자의 경우 연령대별 평가소득제를 폐지하고, 연소득이 500만원 이하인 경우 1만 3100원만 내는 최저 보험료를 도입했다.
이 같은 부과체계 개편을 통해 전 국민의 25%, 647만 세대의 보험료가 변동됐다. 보험료가 인하된 세대는 568만 세대로 월평균 2만 1000원이 감소했다.
반대로 지역 가입자 중 80만 세대의 보험료는 월평균 6만6000원이 인상됐다.
앞으로 주류세 등 추가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도 현 시점에서 논의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건보공단은 새로운 재원 마련 계획보다 매년 기획재정부에서 집행하는 건강보험 국고지원 비율을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김용익 이사장은 "건보 재정에 대한 국고 지원을 고정비율로 가져올 수 있도록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며 "가입자 입장에서 정부가 국고지원 약속도 안 지키면서 왜 보험료를 올리냐는 얘기가 나올 수 있어 국민 신뢰도 제고 차원에서도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