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제약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제약업체들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전문성을 더 강화하거나 다변화 전략을 통해 위험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리는 추세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들이 ▲개량신약+제네릭의약품 ▲전문의약품+신약개발 ▲의약품+헬스케어(화장품/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고 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과 환인제약 등은 개량신약과 제네릭의약품 사업에 주력하는 제약사로 꼽힌다. 이들은 복제약만으로는 성장이 어렵다고 판단해 일찌감치 개량신약 사업 분야를 강화해왔다.
특히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가스티인CR정, 레보틱스CR정, 클란자CR 등 품목 확대로, 2019년 개량신약 비중이 매출의 약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의약품과 신약개발에 중점을 둔 제약사들은 대부분 상위제약사들이다. 한미약품, 유한양행, 동아에스티, 종근당, 대웅제약 등이 포함되며, 유한양행은 자체 개발보다는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용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일반의약품과 함께 화장품으로 사업을 확장한 제약사들은 동국제약, 일동제약, 동화약품 등이다. 동국제약의 화장품 브랜드는 '센텔리안24', 일동제약은 '퍼스트랩', 동화약품은 '활명'이다.
동국제약의 경우 지난해 화장품 매출액이 800억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동제약도 유산균을 원료로 한 화장품을 출시하는 등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면서 매출액이 230억원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회사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에도 진출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