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DPP-4 억제제 계열 당뇨치료제 처방 1위는 MSD의 '자누메트'가, SGLT-2 억제제 계열은 아스트라제네카의 '포시가'가 차지했다.
27일 의약품 시장조사업체 유비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DPP-4 억제제 계열 당뇨치료제 원외처방액은 총 5295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성장했다.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 중인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치료제 시장은 총 902억원으로 2018년과 비교할 때 39% 성장했다. 성장세는 가파르지만 시장 규모는 5배 이상 차이난다.
처방 규모로 보면 MSD의 '자누비아 패밀리'가 DPP-4 억제제 계열 시장에서 선두를 달렸다.
복합제 '자누메트'(성분명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처방량은 711억원, 단일제 '자누비아' 439억원, '자누메트엑스알' 43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전년 대비 각각 2.4%, 1.4%, 5.9% 처방량이 늘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트라젠타 패밀리'는 자누비아패밀리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단일제 '트라젠타'는 전년 대비 4.3% 성장한 591억원, '트라젠타듀오'(메트포르민+리나글립틴)는 5.6% 증가한 585억원을 기록했다.
외자사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당뇨약 시장에서 LG화학의 '제미글로 패밀리'는 전년보다 14.1% 오르며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복합제 '제미메트'(제미글립틴+메트포르민)는 635억원, 단일제 '제미글로' 340억원, '제미로우' 42억원 처방됐으며, 이들은 각각 전년 대비 15.6%, 10.9%, 74.8% 성장했다.
한독 테넬리아와 테넬리아엠(테네리글립틴+메트포르민) 처방량도 두자릿수 증가했다.
단일제 '테넬리아'는 2018년 147억원에서 2019년 171억원으로 16.7% 올랐고, '테넬리아엠'은 151억원에서 183억원으로 21.8%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