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제약사 영업활동에도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연세의료원, 서울아산병원 등 의료기관들이 '제2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 출입자 감시체계를 구축하면서 열화상 카메라 설치, 선별 진료소 운영 등 바이러스 유입 및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같은 조치가 병의원 등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펼쳐야 하는 제약사 영업사원들에게 큰 허들이 된 것이다.
일부 대학병원 교수들은 당분간 방문 자제를 요청하기도 하며, 막상 면회를 하게 되더라도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한다. 담당 의사를 한 명이라도 더 만나야 하는 영업사원들의 입장에선 속이 탈 수밖에 없다.
국내 한 제약사 PM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후 교수님을 만날 경로가 크게 줄었다"며 "오늘(29일) 서울아산병원을 갔는데 출입구에 열감지 화상카메라가 설치돼 있고, 출입 시 절차도 까다로워져 평소보다 긴 시간이 걸렸다"며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그는 "병원마다 의료진 및 관계자를 제외한 사람의 출입을 가급적 지양토록 하고 있다보니 영업환경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메르스, 사스 사태를 겪으며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실시하는 조치니 당연히 따라야 하지만,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까봐 우려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