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로 들어선지 17년 만에 고령사회(65세 인구 비중 14%↑)로 진입했다. 같은 기간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연령인구가 최초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생산연령인구란 15~64세 인구에서 재소자, 군인, 해외공관 근무자 등을 제외해 실제 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구만 추린 생산가능인구와는 다른 개념이다.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건강보험재정 악화 등을 비롯한 의료계 이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우리나라 총인구는 5142만명으로, 전년도 5127만명보다 15만 여명 가량 증가했다.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인 711만 5000명에 달해, 고령화사회에 진입한지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일반적으로 고령화사회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고령사회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인 사회를 말한다.
문제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됐다는 일본도 고령화사회(1970년)에서 고령사회(1994년)로 가는 데 24년이 걸렸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일본보다 빠른 셈이다.
하지만 15~64세인 생산연령인구는 3619만 6000명으로 전년(3631만 2000명)보다 11만 6000명(0.3%) 감소했다.
통계청은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등 의료계 이슈에 대한 논의도 바빠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 국민건강보험공단 김용익 이사장은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급증에 따른 건보재정 위협에 대해 언급했다.
지난해 국감 당시에는 국민의당(현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이 고령사회에 대비한 건보재정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65세 이상 노인의 총진료비가 지난 2008년 10조 4904억원에서 2016년 25조 187억원으로 2.5배 증가했고, 노인들이 자주 찾는 치과병의원 진료비도 같은 기간 3배 늘었다”며 “고령사회를 대비한 건보재정의 안정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고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