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 활용 발사르탄 처방 재발방지 대책 마련
최종수정 2018.08.03 15:47 기사입력 2018.08.03 15:4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행정/법률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은 지난 7월26일 국회 임시회 업무보고 시 김광수 의원(전북 전주시갑, 민주평화당)이 지적한 ‘판매중지 조치 후 발사르탄 고혈압약의 처방·조제 사례’를 분석해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심평원은 지난 7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발암물질 함유 발사르탄 고혈압약 115품목의 안전성 서한을 전달받아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시스템에 품목리스트를 지체 없이 등록하고 처방·조제 중지 팝업창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차단 조치에도 불구하고 처방·조제된 사례가 확인돼 7월8일부터 16일까지 처방·조제사례 59기관·141명을 전수 조사했다.
 
조사 결과, ‘사용중지 팝업’이 발생하지 않은 사유는 해당 요양기관의 일부 PC에서 DUR점검 기준 데이터베이스가 7월 7일 이후로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파악됐고 다행히 해당 환자들의 약제 교환은 모두 완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심평원은 사용중지 의약품이 발생하는 경우 우선 DUR시스템에 점검 대상 약제목록과 내용을 DB에 등록하고 동 사실을 알리미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의료현장에서는 기준DB 동기화를 거쳐 해당약제 처방·조제 입력 시“사용(급여)중지 의약품으로 처방·조제할 수 없음”이란 팝업 내용이 뜨면서 처방·조제가 차단된다.


DUR시스템을 사용 중이더라도 기준DB의 버전이 동기화되지 않은 과거 버전에서는 최신 정보에 대한 점검 결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심평원은 이 같은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DUR 기준DB 변경이 있는 경우 요양기관의 업데이트 상황까지 실시간 모니터링 할 예정이며, 요양기관 네트워크 및 PC환경의 취약점 분석을 통해 최신버전 업데이트 기능을 보완할 계획이다.


심평원 유미영 DUR관리실장은 “DUR시스템 활용을 통해 위해약물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현장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므로 요양기관 의약사 한분 한분의 철저한 DUR 점검 이행과 적극적인 기준DB 버전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근빈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