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보건복지부는 모바일 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을 기존(34개소)의 2배 규모인 70개 보건소로 확대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2017년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평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이용자 4080명 중 93.7%인 3824명이 서비스 제공기간인 6개월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건강관리 효과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파악됐따.
올해는 사업 참여 보건소(70개소)에서 관내 지역 주민 또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신청을 받으며, 보건소별 평균 120명(60명~300명 수준), 전국 8000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기존 34개 보건소는 이미 이용자 등록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새로 참여하는 36개 보건소는 7월2일부터 이용자 등록·서비스 제공을 시작한다.
이용자는 모바일 앱으로 운동·식사 등의 생활습관 개선 목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관리받는다.
또한 본인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에 대해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전문가로 구성된 보건소 전담팀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운동, 식습관, 생활습관 등)를 제공한다.
이재용 복지부 건강정책과장은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는 효과가 검증된 수요자 맞춤형 건강관리사업"이라며 "보다 많은 국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