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통증의학과는 전공의 선호도가 높은 인기과이지만 실상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수술실 마취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특히 의료대란 이후 당직 등 업무 부담이 가중되면서 일부 병원은 마취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수술을 중단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이에 데일리메디는 서울시병원회(회장 고도일)와 지난 25일 '의료대란과 수술실 마취'를 주제로 정책 좌담회를 마련했다. 이번 좌담회에는 중증질환 마취를 중심으로 대형병원, 지역병원, 개원가 각각의 현황을 살펴보고 수술실 마취 회생 대책을 모색했다. 고도일 서울시병원회 회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패널로는 △중앙대병원 권정택 원장 △대한마취통증의학회 임병건 수련교육이사 △충북대병원 신영덕 수술실장 △대한마취통증의학과의사회 강병찬 학술이사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배홍철 사무관이 참석했다.[편집자주]
그는 "특히 소아, 이식, 산과 등 중증수술 마취는 전문의들도 기피하는 분야"라며 "여기에 전공의 사직에 따른 업무 증가로 기존 전문인력들의 사직이 줄을 잇고 있다"고 덧붙였다.
충북대병원 신영덕 수술실장은 "지방에 비하면 서울은 천국이다. 지방은 중증질환 뿐만 아니라 일반수술 마취를 맡을 촉탁의 조차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가장 문제는 과도한 당직이다. 전공의마저 없다 보니 당직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졌다. 의료진은 이미 번아웃 상태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과도한 당직 등으로 대형병원 떠난 마취 전문의 상당수는 '프리랜서' 선택"
대형병원을 떠난 마취 전문의 중 다수는 '프리랜서'를 택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어 "지금 마취 전문의들은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프린랜서로 활동하는 게 트랜드다. 수입도 통증클리닉보다 더 높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의과대학 증원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어 "저수가에 소송 부담까지 총체적 난국"이라며 "수가가 일본 정도 수준으로 개선돼야 현재의 난국을 타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마취 관련 수가를 인상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는 지적이다.
이어 "중증수술에 수반되는 마취에 대해서도 보상기전을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임병건 수련교육이사는 "수가 개선은 고무적이지만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특히 소아마취의 경우 1000% 가산을 해줬지만 기존 수가 자체가 워낙 낮았기 때문에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짚었다.
"전공의 없는 대학병원 수술에 전임의들 남을 수 있는 환경 조성 절실"
좌장을 맡은 고도일 서울시병원회장은 "국립대병원 교수 증원, 중증수술 마취에 대한 선별적 보상 외에 어떤 방안들이 있나"라고 질의했다.
이에 신영덕 수술실장은 "우선 전임의들이 대학병원 수술실에 남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부 공언대로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임의 확보가 더욱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학회에서는 지도전문의 진료 비중을 60~80%로 하고 나머지 시간을 교육과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고 권고하지만 현장에서는 거의 진료만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지만 수술실 마취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