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전담병원에서 해제된 지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지방의료원들이 회복되지 못하고 무너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상여금은 물론 지난해 연차수당이 미지급되고 각종 수당이 포함되지 않아 임금의 50%밖에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6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최희선)은 '전국 지방의료원 총력 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최희선 위원장은 "노동자들에게 임금은 생존권이다. 한 달 벌어 한 달 사는데 임금이 체불되면 마이너스 통장에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공공병원을 죽이면서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현장발언에 나선 윤선영 영월의료원 지부장은 "2010년부터 강원도 5개 의료원 종사자들은 5년 동안 임금 동결이라는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했다"고 말했다.
엔데믹 선언 이후 지난해 9월 강원도는 도내 5개 의료원에 '운영개혁 혁신 방안'을 전달했다. 윤 지부장은 "5개 의료원 종사자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면서 공공의료 강화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천안의료원은 자구책으로 충청남도에 무급휴직, 자연감축, 희망사직, 권고사직, 해고 등 100명의 구조조정 계획안을 제출했다.
정민경 천안의료원 지부장은 "사측은 충남도가 자구책을 내라고 해 어쩔 수 없다고 하고, 충남도는 모르는 일이라며 책임을 떠넘겼다"면서 "국가와 지자체가 책임지고 공공병원을 살려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방의료원들의 경우 대부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순환기내과 의사가 없어 수술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비인후과 의사가 없어 일반 감기 환자도 오지 못하게 되고, 소화기내과 의사가 없어 내시경을 못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김래형 군산의료원 지부장은 "팬데믹을 겪으며 지방의료원은 병동 폐쇄 등으로 인해 허가병상을 줄이고 인가병상에 대비한 환자 병상이용률도 감소했다"며 "팬데믹 때 의사들이 떠나 환자도 다 떠났다"고 호소했다.
이서영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 사무국장은 "지방의료원을 외면하고 방치하는 지금 윤석열 정부 의료개혁은 가짜"라며 "지방의료원만이 지역의료를 살릴 수 있고, 지방의료원을 살리는 것은 보건의료노동자들"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노조는 ▲공공병원 경영난·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한 재정 투입, 2025년 예산 반영 ▲지역의사 의무복무제, 공공의대 설립 등 의사 확보대책 마련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공공병원 육성정책이 포함된 의료개혁 과제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