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힘들어 죽겠는데 어떻게 간호사 보내냐'
권역응급의료센터도 간호인력난 심각, '취약지 파견제도 실효성 글쎄'
2017.02.07 12:03 댓글쓰기


최근 보건당국이 의료 취약지역 간호인력난 해소책으로 파견제도 확대를 천명했지만 정작 취약지에 간호사를 보내 줄 권역응급의료센터들 조차 인력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시간 내 권역응급의료센터 도달이 불가한 지역을 응급의료 취약지로 지정, 응급의료기관에 간호사를 파견해 추가 급여를 지급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의료취약지뿐만 아니라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병원들도 간호인력이 없어 애를 태우고 있어 제도의 효율적 추진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수도권 A대학병원 관계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업무 부담이 과중해 이직이 늘어나고 있다”며 “응급병동 간호사 배치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적은 인력으로 밤근무 등을 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현행 규정에는 응급의학 전문의 5인 이상 확보·응급실 전담간호사 최소 25인 이상 확보 및 당직전문의 등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기준을 마련해 두고 있지만 응급병동 내 간호인력에 관한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다.
 

이 관계자는 “간호사가 없다 보니 병원 입장에서는 응급병동 또한 일반병동과 비슷한 수준의 인력을 배치하게 된다”며 “업무 부담이 가중돼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직원들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환자들은 응급실에서 응급병동을 거쳐 의료진 판단에 따라 72시간 내 다른 병동으로 이동한다. 전실(轉室)업무 등에 필요한 인력 규정과 이에 따른 보상이 마련돼야 업무강도가 완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B대학병원 관계자는 "응급실과 중환자실에는 간호사 배치 비율이 정해져 있지만 응급병동은 그렇지 않다"며 "특수병동으로 설정해 간호사 배치 기준이 마련되고 수가가 조정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의 중증도 조절이 가능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지만 응급환자는 그게 어렵다"며 "최소 1년 이상 경력을 갖고 있는 간호인력이 필요한데 여의치 않아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우려에 따라 최근 일부 병원은 노사 협의를 통해 응급병동 내 인력 증원을 고민 중이다.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C병원 관계자는 "센터 도입 후 응급병동에 일반병동과 동일한 숫자의 간호사를 투입하다가 최근 노사 협의를 통해 증원을 시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병원에 비해 간호사 수가 많은 편이지만 여전히 업무 강도가 높아 못 버티고 나가는 직원이 많고 경력자는 점점 더 부족해지는 실정"이라며 "인력을 줘도 주는 게 아니다. 협상을 통해 추가 배치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