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나폴레옹 군대 군의관이었던 도미니크장 라레는 1797년 전쟁터 부상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곳으로 빠르게 수송하기 위해 마차 형태의 운송 수단을 도입했다.
이른바 ‘날으는 앰뷸런스(Ambulance Volante)’로 불리던 이 운송 수단은 말 2~4마리가 끄는 마차에 박스를 얹은 형태로 이동식 야전병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도미니크장 라레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부상자 중증도를 분류하며 환자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구급 체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체계는 다른 군대에도 점차 확산하며 발전했고, 오늘날 응급의료체계를 만드는 중요한 밑거름이 됐다.
응급의료체계(EMSS: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는 좁은 의미에서는 병원 밖에서 응급의료를 수행하는 것을 뜻하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회보장과 복지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응급의료체계가 곧 국가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가 된다는 얘기다.
최근 국내에서도 다양한 국가 위기 상황이 빈발하면서 응급의료체계 중요성이 대두됐으며 우리나라는 1991년 응급의료관리운영규칙이 제정되면서 응급의료 기본체계를 갖추게 됐다.
이후 정부는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을 공포하고 1995년 응급의학을 전문 진료과목으로 인정하는 등 본격적인 응급의료체계 수립에 나서면서 현재는 선진국과 비견할 수준에 이르렀다.
1991년 7월 응급환자정보센터로 첫 발걸음…응급의료정보센터→응급의료지원센터
우리나라에서 응급의료를 대표하는 버팀목이 바로 응급의료지원센터다. 각종 재난을 비롯해 감염병 등 국가 위기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1991년 7월 응급환자정보센터로 처음 개소했다.
그 후 응급의료정보센터를 거쳐 2015년 7월 현 응급의료지원센터로 명칭이 변경됐고, 국가 응급의료정책을 전파하고 지역 응급의료체계가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응급의료지원센터 법정 의무 업무로는 ▲응급의료 관련 각종 정보관리 및 제공 ▲지역 내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훈련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 간 업무조정·지원 ▲지역 내 응급의료 질 향상 활동 지원 ▲지역 내 재난 발생 시 응급의료 관련 업무조정·지원 ▲기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응급의료 관련 업무 등이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응급의료상황실을 구축해 응급실에 내원한 중증응급환자 약 6400여 명의 전원, 지원 역할을 수행했다. 이어 태풍 힌남노와 10.29 이태원 참사 사고에도 재난의료지원팀(DMAT)과 함께 출동해 현장을 지원했다.
이 외에 응급의료 시책 및 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시·도응급의료위원회를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 재원을 통한 협의체, 홍보, 자동심장충격기 점검 등 다양한 지역 특화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응급의료지원센터는 2012년 6월부터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위탁돼 운영 중이며, 현재 약 76명의 인력이 전국 17개 시도에 분산 배치돼 있다.
이 중 32명은 지역 내 응급의료정보관리, 응급의료조사통계, 교육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41명은 전국 41개 재난거점병원에 각 1명씩 배치돼 DMAT이 재난 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지자체 재원으로 운영되는 충남응급의료지원단으로 2명, 제주응급의료거버넌스 구축 1명 등 지역 내 응급의료를 지원하기 위한 전담인력 3명도 근무하고 있다.
2023년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 시행되는 해로 응급의료지원센터 역할 중요
센터는 지자체 위탁사업도 진행한다. 현황을 보면 ▲서울(자동심장충격기 점검 및 교육 홍보) ▲대구(맞춤형 응급의료 서비스 질 향상) ▲대전(안전한 응급실 진료환경 만들기) ▲세종(응급의료네트워크 구축, 중증응급환자 이송체계 구축) ▲경기(응급의료지원단 운영,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등에서 위탁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충북(응급의료네트워크 구축) ▲충남(응급의료네트워크 구축/운영, 응급의료 현황분석 및 연구 활동, 홍보 및 응급의료정보 통합제공) ▲경북(지역대응 매뉴얼 작성, 현장응급의료소 운영 지원, 요양병원 응급의료 전원체계, 경북 응급의료워크숍) ▲제주(재난의료대응 훈련 워크숍, 응급의료 거버넌스 운영) 등에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금년은 향후 5년간 응급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인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이 시행되는 해로 응급의료지원센터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여전히 응급의료 여건이 열악한 지역사회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앙응급의료센터 김성중 센터장은 “응급의료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지역사회는 여전히 열악하다”며 “국가 정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지역응급의료체계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현장에 많은 관심과 지원으로 지역 내 응급의료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해 응급의료 질 향상 및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