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취약해진 노인의료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인의학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한노인병학회, 대한노인의학세부전문의 추진관리위원회가 주최한 국회토론회에서 윤종률 대한노인병학회장은 "노인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의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노인전문의를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회장은 "신종 감염병 출현으로 노인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노인병전문의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인구 고령화와 코로나19가 맞물리면서 우리나라 노인의료 실체가 여실히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지난 5월 기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연령별 사망 자료를 보면, 70~79세 노인 코로나19 사망률은 23%, 80세 이상은 59%에 달한다.
코로나19로 사망한 경우가 아닌 초과사망자도 고령일수록 훨씬 많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65~74세 초과사망자는 612명, 75~84세 초과사망자는 1317명, 85세 이상은 2370명이다.
"노인환자 통합적 관리 위한 시스템 구축 필요"
윤 회장은 "오는 2025년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40년에는 전체 노인인구 중 75세 이상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며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노인의료 체계는 붕괴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노인병 전문의 정도만 만들어도 노인의료 문제 상당 부분이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노인은 많은 질환을 앓고 있다"며 노인병 전문의 제도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그는 "기존에 만성질환이 있을 경우 나이가 들수록 복합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면서 "70대부터는 고혈압, 당뇨병은 물론 소변 장애, 백내장, 뇌혈관 질환, 치매 등이 우후죽순 생긴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환자를 다수 전문의가 개별 진료로 돌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는 내과, 호흡기내과, 비뇨의학과 등 다수 전문의가 개별로 환자를 보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로인해 집중 관리가 필요한 노인환자에게 다양한 문제가 초래된다는 게 윤 회장 설명이다.
다만 윤 회장은 "노인병전문의가 필요하다는 오랜 주장에도 아직까지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노인병 전문의는 2000년대 초반부터 언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관련 단체마다 의견이 통일되지 않고 있으며 결정적으로 정부 역시 제도 도입에 신중한 입장이다.
윤 회장은 "노인병 전문의가 주치의 역할을 수행하면 불필요한 입원과 응급실 방문, 요양시설 입소 등이 감소하는 효과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궁극적으로 노인 주치의 연계 검토"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고형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장도 노인의료체계 개선에 대한 공감을 표했다.
다만 그는 "노인의료 세부전문의는 관련 학회에서 하고, 전문의 같은 경우 복지부가 시행령을 개정해야 하므로 대한의학회, 대한의사협회 등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부가 추진하는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이 질병 단위로 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노인 주치의 제도로 갔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면서 "코로나 상황이 완화되면 지역 커뮤니티 센터에서도 노인 의료·돌봄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