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 의과대학 정원 확대 주장으로 파문을 일으켰던 서울대학교병원 김연수 병원장이 이번에는
‘원격의료
’라는 민감한 주제를 건드렸다
.
일각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연이은 소신 발언으로 의료계 뇌관을 통타하고 있는 만큼 다음에는 어떤 현안을 지목할지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진다.
서울대학교병원 김연수 병원장은
30일 한 경제지에 게재한 칼럼을 통해 원격의료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
그는 우선 국내 의료와 정보통신기술이 세계적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 두 영역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원격의료’라는 프레임으로 단단히 묶여 있다고 진단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대한의사협회 등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는 원격의료에 대한 반감정서를 의식한 듯 일각에서 제기하는 우려에 대해 일단 공감을 표했다.
원격의료가 국민건강 차원이 아닌 산업계를 위한 정책이며, 오진이나 환자정보 유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동네의원에 위협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인정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의료진과 시스템 준비라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지만 국내 의료전달체계를 쉽게 무너뜨릴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국민건강 향상과 필수의료의 안정적 보장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높고, 의료계 역시 이에 순응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국내 1, 2차 의료기관 수준은 세계적이며 이러한 양질의 의료를 필요한 국민에게 적시적소에 제공할 수 있는 미래의료 플랫폼 구축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설파했다.
이를 위해 상급종합병원들이 플랫폼을 만들고 1, 2차 의료기관이 이용하는 구조를 제안했다.
상급종합병원들과 1, 2차 의료기관의 소통은 진료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보장하고, 1, 2차 의료기관 역량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연수 병원장은 “이러한 구성은 만성질환 예방‧관리, 고령친화적 의료제공, 격오지 진료 등에 쉽게 이용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국민건강 향상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1, 2차 의료기관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에 원격의료를 십분 활용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희귀난치질환 환자의 모니터링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그는 “지역 의료원의 중환자실 진료나 진행성 암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 원격의료를 적극 도입한다면 국내 의료자원 이용의 효율성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파했다.
이어 “기왕에 우리가 이룩해 놓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와 전자통신기술이 우리 국민들의 편안하고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접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