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藥, 제주도 DUR엔 포함 안돼'
2010.01.31 20:55 댓글쓰기
지난해 12월 제주도 소재 의원 290곳과 약국 212곳에서 시작된 DUR(의약품처방조제지원시스템) 2차 시범사업이 시작됐다.

이번 제주도 DUR 시범사업 프로그램에 일반약과 비급여의약품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각 단체의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제주도 시범사업에서는 급여에서 일반약으로 전환돼 코드가 형성돼 있는 의약품을 제외하고 비급여약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UR 사업단 박정연 단장은 “궁극적으로는 일반의약품과 비급여의약품을 포함시켜야 하지만 아직 코드가 없어 제주도 사업에서는 포함시키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정연 단장은 “비급여의약품의 경우도 심평원으로 청구하는 목록이 아니기 때문에 관리가 되지 않아 생성된 코드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박 단장은 “시범사업인 만큼 시스템 수용성이 적합한가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현재 DUR 사업단은 코드가 없던 일반의약품과 비급여의약품의 코드 생성 준비작업 들어갔으며, 코드는 전국 확대 시기인 하반기에 맞춰 완성된다.

제주도 시범사업에 포함될 일반의약품의 몇개 성분은 복지부에서 검토 중이다.

박정연 단장은 “시행초기와 달리 의사와 약사, 환자까지 시범사업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면서 “이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강조하면서도 일반약과 비급여의약품 포함과 관련해 두 단체의 입장차는 다소 아쉽다는 반응이다.

박 단장은 “‘첫술에 배 부르랴’라는 말을 하고 싶다”면서 “이것도 하나의 과정이다. 때문에 시범사업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면 서 요양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제주도 시범사업을 통해 의료기관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시스템을 더 꼼꼼히 점검해 개선점을 찾고 보완해 전 국민이 안심하고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전국 확대에 만전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의학적 타당성과 단 몇 프로의 약화사고 방지를 위해서라도 두 단체가 더 애써주기를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단장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2단계 시범사업은 1단계에서 발생했던 프로그램 다운현상들을 개선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DUR 시스템 전국 확대는 당초 9월 시행계획이었으나 시스템 계발에 걸리는 소요시간 등을 감안해 11월로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정연 단장은 심평원 홍보실장과 창원지원장, 급여조사실장 등을 거쳐 현재 DUR사업단을 이끌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